LG이노텍, "AI로 카메라모듈 불량률 최대 90% 줄였다"

입력 2024-05-30 10:20수정 2024-05-30 13: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성능 히팅 카메라 모듈 (자료제공=LG이노텍)

LG이노텍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고사양 카메라 모듈의 주요 검사 항목에서 불량률을 최대 90%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LG이노텍은 초기 수율 안정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제고 효과를 거두며 고도화된 제조 AI를 기반으로 수익성 중심 경영에 드라이브를 걸 계획이다.

LG이노텍은 2021년부터 초기 수율 안정화를 위해 공정 불량을 사전에 예측하는 AI 개발에 착수했다. 이후 지난해 업계 최초로 'AI 공정 레시피'를 주력 제품인 고사양 카메라 모듈 공정에 적용했다.

최초 설정된 공정 전체 프로세스를 AI가 전수 점검해 불량 발생이 예상되는 공정을 사전에 탐지한다. 불량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AI가 기계의 작동 강도, 컨베이어벨트의 속도, 실내온도 등 공정 과정의 수많은 변수를 반영한 시뮬레이션을 돌린다. 이를 통해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공정 레시피를 도출하는 원리다.

기존에는 카메라 모듈 양산 초기 성능 검사에서 불량이 감지되면 새로운 공정 레시피를 찾는 데 72시간 이상이 소요됐다. 그러나 AI 공정 레시피가 적용되면서 이 과정이 6시간 이내로 단축됐다고 LG이노텍은 설명했다.

LG이노텍 관계자는 “최적의 레시피 도출을 위해 카메라 모듈 공정 관련 데이터 수천만 건을 AI에 학습시켰다”며 “이 같은 데이터 자산은 앞으로 회사의 품질 역량을 견인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AI 공정 레시피 도입으로 카메라 모듈의 불량률이 낮아지면서 원가 경쟁력 제고 효과를 거뒀다고 LG이노텍은 전했다.

LG이노텍은 올해 안에 AI 공정 레시피를 반도체 기판에도 확대 적용하는 등 AI를 활용해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제품 종류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이사는 "고도화된 AI를 활용한 디지털 제조공정 혁신을 이어가며, 압도적 기술·품질·생산 경쟁력으로 고객을 글로벌 1등으로 만드는 '글로벌 기술 혁신 기업' 입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