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오너 부재’ SPC그룹, 안전경영 역점…SPL 새 대표에 손병근 선임

입력 2024-05-31 08:40수정 2024-05-31 09: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허영인 회장, 구속 수감 상태에도 ‘안전경영’ 약속 지키려 인사 단행

▲서울 양재동 SPC 사옥. (사진=SPC그룹)

‘오너 부재’ 상태인 SPC그룹이 오늘(31일) 임원인사를 단행, 전열 재정비에 나선다. 2022년 SPL 평택공장 노동자 사망사고에 이어 지난해 허영인 회장 구속까지 잇단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 SPC그룹이 분위기 쇄신을 위해 인사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산재 사고의 근원지인 자회사 SPL의 대표이사를 새로 선임, ‘안전경영’에 역점을 둔다는 점이다.

31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SPC그룹은 이날 손병근 현 SPC삼립 연구소장(전무)을 SPC 자회사인 SPL 대표이사로 선임하는 임원인사를 발표한다. SPL은 경기 평택시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빵 생지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SPL 평택공장은 2022년 근로자의 기계 끼임 사망사고가 발생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새 대표이사로 선임된 손병근 전무는 1966년생으로 충주대에서 식품공학과 학사·석사를 마쳤고, SPC삼립에서만 30년 이상 근무한 ‘SPC맨’이다. 파리크라상 이노랩 제품개발1실장과 SPC 베이커리 제품개발실장 등 주요 보직을 거친 식품 연구개발(R&D) 전문가다.

SPC그룹은 손 전무가 식품 제조설비에 대한 식견이 깊고 R&D에도 강점이 큰 만큼, 이번 대표 선임 이후 평택공장 내 노후화된 기계를 현대화하고 식품제조 근로자들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구원투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난해 7월 평택시로컬푸드재단과 SPC삼립이 협업해 개발한 평택쌀빵 시제품 품평회에 참석한 손병근 SPL 신임 대표이사(왼쪽에서 세 번째). (사진제공=평택시)

특히 이번 인사는 그룹 오너인 허 회장이 법정구속 된 상황에서도 단행됐다. 앞서 일련의 산재 사고 직후 식품제조 현장관리를 철저히 해 안전성 제고에 나서겠다고 공언했던 오너의 의지가 크게 반영됐다는 후문이다. SPL 평택공장은 1000명이 넘는 상시근로자가 근무 중인 대형사업체로, 그동안 이 공장을 비롯해 SPC 계열사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산재가 발생해왔다. 이로 인해 SPC는 식품기업에 가장 중요한 ‘안전성’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고, 그에 따른 기업 이미지도 큰 타격을 입었다.

이로 인해 정기인사 시즌이 아님에도, SPC그룹은 손 전무를 SPL 대표로 내세워 책무를 부여했다. 그는 이미 허 회장이 믿고 일을 맡기는 ‘믿을맨’으로 통한다. 허 회장은 지난해 말 국회에서 열린 산업재해 관련 청문회에 출석해 “B.K. SON(손병근 전무의 영어 이름)이 누구냐?”라는 질문에 “설비에 대해 가장 많이 알고 있고 특히 제빵기술에 대해서도 많이 아는 전문가”라고 답하기도 했다.

손 전무가 SPL 대표로 자리를 옮김에 따라 SPC그룹 임원인사도 연쇄적으로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후임 SPC삼립연구소장에는 김진억 SPC 품질경영실장(상무)이 승진 선임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그동안 SPL을 이끌어온 박원호 대표이사는 근로자 사망사고 이후인 작년 2월 SPC가 안전경영 강화를 위해 투입돼 강동석 당시 대표이사와 공동으로 경영을 해왔다. 이후 지난해 9월 강 대표가 검찰에 기소되면서 자진 사임, 반년 가량 박 대표 단독 경영체제를 유지했다. 하지만 이번 손병근 대표이사 인사에 따라 박 대표 역시 SPL 대표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