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AI 서울 정상회의' 성과 국제 사회에 공유

입력 2024-05-30 09:32수정 2024-05-30 13: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도현 제2차관(패널 중 좌측에서 세 번째)이 ITU에서 개최하는 행사인 AI 포 굿 내 부대 행사 중 하나인 스테이트 오브 플레이 오브 메이저 글로벌 AI 거버넌스 프로세스(State of play of major global AI Governance process)에서 패널 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강도현 2차관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가 주최하는 인공지능(AI) 포 굿 글로벌 서밋 (AI for Good Global Summit) 2024’ 행사에 참여해 ‘AI 서울 정상회의’의 성과를 국제사회에 알렸다.

'AI 포 굿'은 AI를 활용해 글로벌 도전과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통해 유엔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를 달성하고자 전 세계 정부·국제기구·학계·산업계가 참여해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글로벌 플랫폼으로, ITU는 그간 인공지능(AI) 기반의 사회문제 해결과 혁신을 추진해 온 대한민국 정부의 적극적인 활동을 주목해 왔다.

강 차관은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의 의미와 핵심 성과를 발표했다. 강 차관은 대한민국이 과거 정보화 시대에 정보통신 강국으로 발돋움하여 세계적 모범사례를 제시하였듯 AI시대에도 글로벌 AI 거버넌스 논의에 책임있게 기여하기 위해 영국과 함께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를 개최했다는 배경을 소개하면서, 안전을 넘어 혁신과 포용의 가치까지 포괄한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의 의미를 강조하고, 주요 핵심 성과인 서울 선언과서울 장관 성명의 주요 내용과 의의에 대해 공유했다.

이어 AI 유럽위원회 위원장, EU 집행위원회 연결총국의 사무총장, 미국 전기통신정보청 차관, 중국 산업정보기술부 차관, 일본 총무성 차관, 영국 과학기술혁신부 부국장 등과 함께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를 포함해 디지털 권리장전, EU의 AI법, 美 AI 행정명령, 히로시마 AI 프로세스 등 그간 AI 거버넌스 정립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들을 진단하고 향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강도현 제2차관이 ITU에서 개최하는 행사인 AI for Good 내 부대 행사 중 하나인 AI Governance Breakouts에서 패널 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제공=과기정통부)

강 차관은 ITU 사무총장과 양자면담을 통해 우리 정부의 새로운 AI·디지털 질서의 기본 방향을 담은 디지털 권리장전과 ‘AI 서울 정상회의’ 성과에 대한 ITU 차원의 지지와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AI·디지털 규범 선도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강도현 2차관은 “대한민국이 ‘AI 서울 정상회의’에 이어 이번 ITU가 주최한 AI 포 굿에서 또 한 번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미국, 영국 등과 함께 AI 거버넌스에 관한 국제사회 논의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라면서 “앞으로도 과기정통부는 안전과 혁신, 포용의 가치를 담은 ‘서울 선언’을 국제 사회에 적극 확산·공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