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원격의료 쇼케이스 개최…"디지털헬스 분야 협력 지속"

입력 2024-05-30 08: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 "디지털헬스 제품‧서비스 상용화 지원·인재 양성 추진"

▲선박과 부산대병원 간의 원격의료지원 모습. (사진제공=해양수산부)

한국과 미국이 원격의료 쇼케이스를 열고 디지털헬스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미국 상무부와 '한·미 원격의료 쇼케이스'를 화상으로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3월 '한·미 공급망·산업대화(SCCD)'의 후속 조치로, 양국 디지털 헬스 및 원격 의료 산업에 대한 상호 이해 증진과 협력 방안 모색을 위해 마련됐다.

디지털헬스산업은 급격한 고령화, 삶의 질 향상 등으로 지속적 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한 비대면 진료 등 분야에서 사업화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

실제로 2022년 3480억 달러 규모에서 2032년 4조900억 달러로 연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행사에는 양국 디지털헬스 유관 협회와 양국의 디지털 헬스 관련 30여 개의 유망 기업이 참여했다.

한국 측은 국내에서 비대면 진료 앱 등 헬스케어 플랫폼 선도기업인 케어랩스와 룰루메딕이, 미국 측은 미 원격의료 1위 기업인 텔라닥(Teladoc),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인 박스터(Baxter)가 자리해 주요 사업 성과와 향후 계획 등을 발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풍부한 임상 데이터와 높은 정보화 기술 등 디지털헬스 분야에 높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디지털헬스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제품‧서비스의 상용화 지원, 인재양성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쇼케이스를 계기로 양국의 디지털헬스 협력을 지속하고, 6월에 열리는 '바이오 USA 2024'를 통해 양국의 제약‧의료기기‧소부장 등 바이오산업의 전방위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