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에 모인 세계 경제 석학도 ‘고령화’ 주목…“실질금리·중립금리 하락 요인”

입력 2024-05-30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은, 30·31일 ‘2024년 BOK 국제컨퍼런스’ 개최
“기대수명 증가, 실질금리 하락에 가장 큰 영향”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확대, 장기 중립금리 하락 요인”

▲13일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2024년 마포구 노인 일자리 박람회’에서 어르신들이 참여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과 안정적인 소득 보전을 위해 마련됐다. 마포구는 내년도 노인 일자리와 사회활동지원사업 4개 분야(공익활동형,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취업알선형)의 55개 사업에 대해 총 3655명을 모집한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세계 경제 석학들이 실질금리·장기 중립금리 하락 요인으로 인구 고령화를 꼽았다.

한국은행이 30일 개최한 ‘2024년 BOK 국제컨퍼런스-중립금리의 변화와 세계 경제에 대한 함의’에서 브라질 중앙은행 부총재를 역임했던 카를로스 비아나 데 카바요르(Carlos Viana de Carvalho)를 비롯한 연구진은 “노동인구 증가율의 하락, 기대수명 증가는 실질금리 하락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글로벌 금리도 지배적인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발표했다. 실질금리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금리 수준을 말한다.

(한국은행)
연구진은 인구구조와 대외 개방도 등이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균형모형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글로벌 국가(OECD 19개국 가중평균) △젊은(Young)국가(노동증가율 상위 25%·부양비 하위 25%) △고령(Old)국가(노동인구 증가율 하위 25%·부양비 상위 25%)로 설정했다.

연구진은 “고령화된 국가의 실질금리가 젊은 국가보다 낮은 수준에서 형성됐다”며 “자국 기대수명 증가가 실질금리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자본이동이 활발할수록 실질금리는 글로벌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국가 간 수렴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밖에도 노동인구 증가율, 총요소생산성, GDP 대비 연금액, 정부부채, 정부지출, 은퇴 연령증가는 모두 실질금리를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했다”고 부연했다.

(한국은행)
티아고 페레이라(Thiago R.T. Ferreira) 연방준비제도이사회 그룹매니저는 연구진과 ‘글로벌 중립금리의 결정요인’ 논문을 통해 “향후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확대는 장기 중립금리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노동인구 비중 감소는 금융위기 이후 중립금리의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며 “미국의 경우에는 2010년대 후반 이후 생산성 추세가 상승 전환하여 장기 중립금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연구진은 “장기 중립금리는 자국 생산성 추세, 인구구조뿐만 아니라 글로벌 안전자산의 수급 및 교역 상대국의 기초여건 변화 파급효과(global spillover)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했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