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은행 BIS 비율 15.52%…전분기 말 대비 ↓

입력 2024-05-30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총자본비율 0.10%p 하락, 보통주자본비율 12.93%ㆍ기본자본비율 14.62%

3월 말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비율이 전분기말 보다 하락했다.

금융감독원이 30일 발표한 '2024년 3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57%로 전분기말 대비 0.10%포인트(p) 하락했다.

보통주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은 각각 12.93%, 14.62%로 전분기 말 대비 각각 0.08%p, 0.04%p 하락했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은행권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다. 은행의 위험가중자산과 총자본을 계산한 값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건전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은행이 갖춰야 할 규제비율은 △총자본 10.5% △보통주자본 7% △기본자본 8.5% 이상이다. 국내은행은 모두 규제비율을 상회했다.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모든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KB・신한・하나・농협・우리) 및 씨티・카카오・SC가 15%를 상회해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카카오・SC가 14% 이상, 토스・KB・신한이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올해 1분기부터 바젤Ⅲ를 적용하는 토스뱅크의 경우 개인신용대출 위험가중치 하락(바젤Ⅰ 100% → 바젤Ⅲ 75%)으로 자본비율이 상승했다.

금감원은 "3월말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ELS 손실 배상 등으로 전분기말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모든 은행이 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안정적인 수준"이라며 "다만, 고금리·고환율 환경 지속 및 대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예상치 못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여건 악화시에도 은행이 충분한 자본여력을 갖출 수 있도록 건전성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 제도의 정비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