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1분기 1500억 적자…연체율 8.8%

입력 2024-05-29 14:01수정 2024-05-29 16: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PF대출 연체율 급상승에 ‘건전성 관리’ 초점
2차 정상화 펀드 규모 3500억 원으로 확대
“올 2분기부터 연체율 내림세 가시화 기대”

(자료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업권이 올해 1분기 1500억 원 적자를 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3배가량 증가한 규모다. 연체율도 8.8%로 석 달 새 2.25%포인트(p) 상승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수익성보다 리스크관리에 초점을 둔 경영전략을 세우고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29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업계의 순손실은 1543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손실 규모가 1000억 원 넘게 증가했다.

여신 규모가 줄면서 이자수익은 감소했지만,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해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한 영향이다. 업권의 1분기 여신 규모는 101조3000억 원으로, 매각·상각 등 리스크 관리 강화 기조에 전년 말(104조 원)대비 2조7000억 원(2.6%) 감소했다. 이에 이자수익은 1분기 2조4860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336억 원 줄었다, 반면, 대손충당금전입액은 1조2292억 원으로 같은 기간 1326억 원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도 급격히 악화했다. 업계 전체 연체율은 전년 말 6.55% 대비 2.25%p 오른 8.8%로, 2015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이 11%로 전년 말(7.48%) 대비 3.52%p 상승했다. 부동산 PF대출과 새출발기금 협약에 따라 제3자 매각이 제한된 개인사업자 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치솟은 결과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5.25%로 같은 기간 0.24%p 올랐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수익성보다 리스크관리에 초점을 맞춰 대응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부동산 PF대출 사업성 평가 기준 도입, 다중채무자 충당금 적립 강화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위한 제도 시행을 앞두고 있어서다.

특히 연체율 하향 안정화 등 건전성 관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부동산 PF대출 취급 상위사 및 지주계열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올해 2분기 중 약 3500억 원 규모의 자체 정리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기존 발표 규모인 2000억 원에서 1500억 원가량 더 증가한 수준이다. 참여사도 기존 22곳에서 27곳으로 늘어났다. 저축은행 업권 내 PF 부실자산을 적극적으로 빠르게 정리하기 위함이다. 중앙회 측은 캠코 매각과 경·공매 활성화 등을 통해 올해 2분기부터 연체율이 하락하는 등 부실채권 해소의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참여 저축은행 확대, 다양한 매각 구조 검토 등을 통해 추가적인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경·공매 활성화, 자체 상각 등을 통해 부실자산을 조속히 정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채권의 새출발기금 외 제3자 매각은 저축은행 약 20개사가 참여해 공동매각의 형태로 6월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수시·정기 대손상각을 통해서도 2분기까지 약 2000억~3000억 원 규모로 부실채권을 정리할 계획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어려운 영업여건 지속 및 새로운 제도 도입에 따른 대손충당금 추가적립 등으로 올해에는 전년에 비해 손실 확대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와 증자를 통한 자본확충 등 경영 안정성 유지를 위한 자구노력과 함께 정책·감독당국 및 한국은행 등 유관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현 상황을 안정적으로 극복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