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개관…“인공지능 집적 생태계 육성”

입력 2024-05-29 14: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AI 분야 국내외 기업, 교육 등 핵심 거점
공군 AI 신기술융합센터 등 기관 유치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외관. (자료제공=서울시)

서울 내 인공지능(AI) 분야 기술창업 육성 전문기관 ‘서울 AI 허브’의 핵심 앵커시설이 문을 열었다. 앞으로 서울 AI 허브는 양재·우면동 일대에 흩어져있는 AI 산업 지원 시설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카이스트 AI 대학원·공군 AI 신기술 융합센터 등 국내·외 AI 산업의 산·학·연 역량을 한데 모아 인공지능 생태계 중심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전망이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초구 태봉로 108에 들어선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은 시가 신축한 첫 번째 지원시설이다. 그간 민간건물을 임차해 AI 산업을 육성하는 방식으로 시작한 ‘서울 AI 허브’는 이번 앵커시설을 포함해 면적이 7배 이상 늘어나게 됐다.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은 지하 1층~지상 7층 규모로, 협력기관과 기업 간 활발한 네트워킹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오픈형 라운지와 코워킹 공간을 층마다 배치했다. 또 교육 공간, 대·중규모 회의공간. 기업 입주공간 등으로 조성돼 교육, 네트워킹, 기업투자유치 지원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시설에서는 AI 기술 연구 협력 및 대·중견기업 연계 네트워킹을 확대할 협력기관과 기업 재직자 대상 교육 및 우수 인재 공급을 지원할 교육기관을 유치한다. 이를 통해 오픈이노베이션 분야 확대, AI 기술 적용 융·복합 교육 확대 등 협력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아울러 서울 AI 허브의 운영기관인 서울대학교 AI 연구원 교수진 주도의 ‘AI 글로벌 연구 협력 센터’ 공간 조성을 통해 국내 AI 연구자와 해외 연구기관 연구자가 연구 협력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저명한 해외 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을 초빙해 허브 소속기업 및 국내 AI 연구인력들의 세미나 등 글로벌 연구 협력 거점을 마련한다.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내 오픈형 라운지 공간. (자료제공=서울시)

성장기업 입주공간으로는 중규모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20명 내외가 업무 가능한 4개의 공간을 마련했고, 현재 공개모집을 통해 3개의 기업을 선발해 입주했다.

한편 시는 2017년부터 AI 스타트업 육성기관을 조성해 운영 중이며, 현재까지 입주·멤버십 기업으로 360여 개 기업을 육성·지원하고, 기업매출 3659억·투자유치 3694억 등의 성과를 거뒀다.

이날 오후 서울 AI 허브 앵커시설 개관식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김현기 서울시의회 의장, 전성수 서초구청장,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 이영수 공군참모총장, 장병탁서울대학교 AI연구원 원장, 정소영 엔비디아 코리아 대표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다.

오 시장은 “AI를 비롯한 첨단산업 기업의 기술력을 키워 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하여 전 세계 인재와 기업, 자본이 서울로 모일 수 있도록 서울 AI 허브 개관을 시작으로 인적·기술 교류 확대는 물론, 투자와 글로벌 판로 개척에서의 시너지를 얻어 서울이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매력적인 도시가 될 수 있게 에너지와 역량을 아낌없이 쏟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