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시장 전문가들 “정책만으로는 밸류업 안 돼…참여자 모두 노력해야 가능”

입력 2024-05-28 14: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투자협회, 28일 '자본시장 밸류업 국제세미나' 개최
국내외 각계각층 인사 "밸류업, 장기적·전방위적 노력 필요"

▲(앞줄 왼쪽6번째부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홍성국 국회 정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백혜련 국회 정무위원장, 김주현 금융위원장 (사진제공=금융투자협회)

밸류업이 잘 정착하려면 정책뿐만 아니라 플레이어와 자본이 필요하다
기업과 정부, 자본시장 등 세 가지 축이 제 역할은 해야만 올바른 밸류업이 이뤄질 것

시장 전문가들은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자본시장 밸류업 국제세미나’에서 입을 모아 시장 참여자 모두의 노력이 있어야만 ‘밸류업’이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투자협회 주최로 열린 이번 세미나는 ‘번영을 위한 열쇠: 한국 자본시장(The Key to Prosperity: Korea’s Capital Market)’이라는 슬로건 아래 일본의 밸류업 성공 사례와 국내외 전문가들의 제언을 통해 국내 자본시장의 밸류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당국 "밸류업 성공 위해 모든 조치 할 것"

서유석 금투협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자본시장 밸류업은 단순히 기업, 투자자 차원의 문제를 넘어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음으로써 저성장, 저출생, 고령화 시대 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경제 선순환 정책”이라며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대승적 차원 문제”라고 말했다.

축사에 나선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정부는 밸류업 프로그램 성공을 위해 모든 조치를 할 것이며, 국회에서도 협조할 것이라 말해주셨고, 이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자본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건전한 지배구조 형성과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등 자본시장의 올바른 조세 체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밸류업 기업 스스로 노력해야 가능, 당국·투자자 역할도 중요"

▲호리모토 요시오 일본 금융청 국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자본시장 밸류업 국제세미나'에서 일본 밸류업 정책의 성공 요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투자협회)

이날 세미나에서는 호리모토 요시오 일본금융청 국장과 전은조 맥킨지 앤 컴퍼니 시니어파트너가 기조 발표자로 나섰다. 호리모토 국장은 ‘일본 새로운 자본주의 정책의 주요 내용 성과’를 주제로 일본의 자본주의 부양 정책과 지난해 12월 발표한 ‘자산운용 입국’ 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전 파트너는 ‘한국 자본시장의 밸류업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공부를 하지 않으면 당연히 성적이 낮듯이 기업 스스로가 노력하지 않으면 밸류업도 할 수 없다”며 “당국은 밸류업 정책에 대해 솔직한 피드백을 듣고 일반 투자자는 장기투자 관점을 도입해야 하며, 기관투자자는 주주 관여 활동에 대한 본인들만의 정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 "밸류업 위해 과제 산적…시장 참여자 모두 노력해야"

기조 발표 이후에는 각계 전문가들의 토론이 이어졌다.

김지산 키움증권 전략기회부문장은 한국 증시 밸류업을 위해 △투자자 인센티브 도입 확대 △외국인 투자자 한국 증시 접근성 제고 △밸류업 공시 내용 단순화 △증권사 기업금융(IB) 역할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황성태 트러스톤자산운용 대표는 “밸류업은 기업이 자본비용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 출발점”이라며 “밸류업이 잘 정착하려면 정책, 플레이어, 자본 등 세가지가 필요한데 정책과 플레이어는 있지만, 자금은 매우 미미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정우용 상장회사협의회 회장은 “밸류업의 키는 돈과 틀 둘이다. 자금이 있어야만 기업이 투자를 해 돈을 벌 수 있고, 그래야만 배당을 늘리거나 할 수 있다”며 “기업이 투자와 사업을 펼치는 데 이를 막는 제도적인 틀이 너무 많다는 불만들이 있어 이를 풀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우진 서울대 교수는 “회사가 돈을 쌓아두면서 이익은 늘어나는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줄어든다. 자사주 소각 등을 통해 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며 “지배구조 개선을 통해 지배주주와 일반 주주 간 이해충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훈 서울시립대 교수는 “인센티브 수단으로서 강조되는 배당소득 분리과세에서 왜 분리과세가 필요한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금투세를 비롯해 금융소득을 어떻게 볼지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짚었다.

현석 연세대 교수는 “일본은 10년간 정책적, 규제적 정비를 해왔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기업가치를 제고하면 해당 기업이 가장 혜택을 많이 보는 만큼, 정책이나 혜택을 강조하기 이전에 기업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창화 금투협 전무는 “우리 가계는 금융자산의 70%가 부동산인데, 자본소득으로 가계자산을 보충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해 밸류업이 관심을 끈 것 같다”며 “주가지수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세컨더리 마켓·인수·합병(M&A)도 활성화에 BDC가 대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우 금융위 자본시장국장은 “밸류업을 위해서는 정부, 유관기관뿐만 아니라 금융사, 상장사, 투자자 등 시장참여자 모두가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말에 가장 공감이 갔다”며 “정부 당국자로서 그 역할을 잘 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