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남 롯데면세점 대표 “이대론 못 버텨…비상경영 돌입”

입력 2024-05-28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두 차례 임직원 간담회서 “시장 회복 속도 기대에 못미쳐”...희망퇴직 수순 밟을듯

▲김주남 롯데면세점 대표이사 (사진제공=롯데면세점)

롯데면세점이 계속된 적자로 인해 비상경영 체제에 본격 돌입한다. 임직원 희망퇴직과 조직 슬림화, 영업점 면적 축소 등을 통해 비용 효율화를 꾀한다는 구상이다.

28일 면세점업계에 따르면 김주남 롯데면세점 대표이사는 최근 서울 잠실 월드타워점에서 열린 내부 임직원 간담회에서 “비상경영 체제 필요성이 크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의 이같은 비상경영 의지는 지난달 제주점 임직원 간담회에 이어 두 번째로, 사실상 비상경영을 선포한 것으로 해석된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에도 중국을 포함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장기화됐고, 이에 따라 국내외 면세업계 회복 속도가 기대치에 못 미친다는 위기감에 따른 것이다. 롯데면세점은 작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3분기 연속 적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김 대표는 임직원들에게 “고환율에 고물가까지 겹쳐 우리에게 직접적인 어려움이 왔다”면서 “어려움을 버티는 기간 동안 사업 전략을 재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비상경영 체제에 대해 “변화된 환경에 따른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효율을 제고하고 선도적 혁신으로 면세산업 주도권 지속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롯데면세점은 우선 비상경영 체제 일환으로 조직 슬림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직원 희망퇴직 등 단계적인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하고 조직 축소를 통한 운영 효율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또 각 면세점 업장 면적을 줄여 체질 개선에 나서는 한편 마케팅 비용과 송객 수수료 조정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기로 했다.

아울러 급변하는 면세시장 상황을 반영해 주도권을 선점하는 방안도 고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 시내와 온라인면세점 강화에 집중하고 해외에선 오세아니아와 베트남 시장에 집중하는 방식이다. 이밖에 국내외 저효율 사업장을 정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비상경영 관련 실행 방안이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다”면서도 “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악화된 만큼 업황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롯데면세점 명동본점 라운지에 마련된 LDF 스타 포토, 벨리곰 포토존. (사진제공=롯데면세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