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핵심광물 생산량 고작 ‘1%’…지분 늘리고 민관협력 강화해야”

입력 2024-05-28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경협, S&P 글로벌 데이터 분석
…韓 기업 보유 광산 36개 그쳐
중국 1992개, 일본 134개 대비
태부족…“경제안보 차원 대응해야”

▲4차산업 핵심광물 주요국 세계 생산량 비중. (사진제공=한국경제인협회)

우리나라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국내외 핵심광물 광산 수와 그 귀속 생산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4차산업 핵심광물의 수입은 특정국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아 향후 공급망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8일 한국경제인협회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대한민국 기업이 보유한 핵심광물 광산 수는 36개로 주요국에 비해 적고, 핵심광물 귀속 생산량은 전 세계의 1% 이하에 불과하다.

2022년 기준 한국 기업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핵심광물 광산 수는 36개다. 이는 국내에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중국(1992개)과 미국(1976개)뿐만 아니라, 국내 자원 부존량이 부족한 일본(134개)에 비해서도 크게 적은 수준이다.

2022년 기준 한국 기업의 귀속 생산량 비중은 핵심광물 7종 모두 전 세계 총합의 1% 이하에 불과했다. 반면, 일본 기업은 △동 4.1% △아연 3.0% △연 2.8% △철광석 3.0% △니켈 1.7% △코발트 2.0% 등 생산량 비중이 한국 기업보다 높다.

국가별 세계 생산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차산업 핵심광물인 니켈, 리튬, 코발트의 세계 생산량은 특정국에 편중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전 세계 생산량 대비 니켈은 인도네시아가 53.1%, 리튬은 호주가 46.9%, 코발트는 콩고민주공화국이 68.6%의 비중으로 세계 생산량 1위를 차지했다.

국제무역통계(UN Comtrade)의 2022년 교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4차산업 핵심광물 수입은 특정국의 비중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이차전지에 활용하는 ‘황산니켈’은 핀란드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68.2%, ‘산화리튬과 수산화리튬’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87.9%, ‘산화코발트와 수산화코발트’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72.8%에 달했다.

한경협은 핵심광물이 경제안보와 결부돼 있어 안정된 수급이 중요하므로, 국가전략적인 관점에서 해외 광산 지분을 늘리고 민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국 기업은 주로 장기 공급 계약을 통해 해외 자원개발에 진출하고 있으나, ‘지분 보유를 통한 핵심광물 확보’도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에서 우위가 있는 만큼 전략의 다각화 측면에서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이 핵심광물을 확보하려면 실제 생산이 시작되기 전 단계부터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한 게 현실”이라며 “민간의 해외 자원개발 투자에 대한 정책 금융 프로그램 강화, 자원 수출국 정부와의 국제 협력 네트워크 확대 등 정부의 종합적 지원 패키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