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5개월 만에 만난 한일중 경제인... 최태원 회장 "3국 협력 플랫폼 만들자" [종합]

입력 2024-05-27 15: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韓 대한상의·日 경단련·中 CCPIT
27일 상의회관서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개최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27일 세종대로 대한상의회관에서 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하 경단련),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이하 CCPIT)와 공동으로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을 개최했다. 001_240527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왼쪽)과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가운데), 런훙빈 CCPIT 회장(오른쪽)이 간담회장으로 입장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의)

"3국 관계가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우리 경제인들은 협력 체제 복원을 위해 역할을 다해왔습니다. 먼저 민간 차원의 3국 협력 플랫폼을 만들어 봅시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 회장은 27일 상공회의소회관에서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개회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그간 코로나로 협력의 실질적 추진이 어려웠다"며 "앞으로 협력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급한 경제 현안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고 3국 정상회의 합의 사항에 대한 후속 조치도 함께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국과 일본, 중국의 기업인들이 4년 5개월 만에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은 3국의 경제 협력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다짐했다.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개최된 이번 행사는 대한상의와 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하 경단련),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이하 CCPIT)가 공동으로 개최했다.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의)

최태원 회장과 도쿠라 마사카즈 일본 경제단체연합회 회장, 런홍빈 중국 국제무역촉진위원회 회장 등 각국을 대표하는 기업인과 정부 관계자 등 28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미국의 중국 견제, 네이버 라인을 둘러싸고 벌어진 우리나라와 일본의 갈등 등 3국 관계가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열려 더욱 의미가 깊다는 분석이다.

최근 미국 정부는 중국산 전기차, 반도체, 배터리 등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양국 간 무역 전쟁이 심화되는 분위기다. 미국과 중국 어디 하나 놓칠 수 없는 우리나라 기업인들로서는 불확실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게다가 윤석열 정부 이후 회복되는 분위기였던 우리나라와 일본 관계도 최근 네이버 라인 사태로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가운데)과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왼쪽), 런훙빈 CCPIT 회장(오른쪽)이 공동성명서에 서명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의)

이에 3국 경제단체는 서로 협력 하겠다는 다짐을 담은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세 나라는 각 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전환과 교역 활성화, 공급망 안정화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또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그린 전환과 고령화 대응, 의료 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힘을 모으기로 했다.

공동성명서에는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을 3국 간 민간 경제협력회의체로 내실화하기 위해 ‘실무협의체’를 마련하겠다는 계획도 담겼다.

이날 최태원 회장은 "5년 전 청두에서 진단한 지정학적 갈등이나 국제 통상환경 변화 등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세 나라의 경제적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기후 위기, 저출생, 고령화 등 공통 과제도 산적해 있다"며 3국의 협력을 강조했다.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은 "3국이 경제의 토대를 강화하고 협력을 심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녹색 분야 대응, 인적 교류 확대 등의 과제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런홍빈 CCPIT 회장 역시 "3국은 수년 동안 서로의 최대 무역 상대국으로 떼어 놓을 수 없는 이웃이자 동반자"라면서 "경제계가 3국 협력의 건설자이자 수혜자가 되어 산업 협력의 성과를 거두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그간 코로나 팬데믹 등의 공백으로 한일중간 경제 협력을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 "이번에 3국 경제단체 간 실무협의체가 구성되면 비즈니스 포럼을 경제 협력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고, 앞으로 보다 실질적인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