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러 동결자산 수익으로 우크라 지원 논의 중"

입력 2024-05-25 19: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열린 이탈리아 스트레사. (연합뉴스)

주요 7개국(G7)은 동결된 러시아 자산의 운용수익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5일(현지시간)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성명 초안을 입수해 보도했다.

이날 연합뉴스에 따르면,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들은 전날부터 이틀간 이탈리아 북부 스트레사에서 열린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이 담긴 성명을 채택, 발표할 예정이다.

성명 초안에는 "우리는 고정된 러시아 자산에서 나오는 엄청난 이익들을 우크라이나 이익을 위해 사용하는 잠재적인 방법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키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끼친 피해를 보상하기 전까지 우리 관할권에 있는 러시아 자산은 각국 법률 시스템에 따라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것"이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G7은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대규모 공세를 시작한 이후 러시아 자산 약 3000억 달러(약 410조 원)를 동결했다.

앞서 유럽연합(EU)은 지난 21일 역내에 동결된 러시아 자산을 운용해 나오는 연간 약 30억 유로(약 4조4000억 원)의 수익을 우크라이나 군사지원에 사용하기로 했다.

성명 초안은 이번 회의의 목적이 다음 달 13∼15일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 논의할 우크라이나 자금지원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는 세르히 마르첸코 우크라이나 재무장관이 합류할 예정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중국의 수출 공세와 과잉생산 문제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성명 초안은 "우리는 우리 노동자, 산업, 경제 회복력을 약화하는 중국의 포괄적 비시장 정책과 관례들에 우려를 표한다"며 "과잉생산의 잠재적 악영향을 감시하고 세계무역기구(WTO) 원칙에 따라 공정한 경쟁의 장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고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스라엘에 팔레스타인 은행과 연결을 유지해 중요한 거래, 무역,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고, 서안지구 경제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도록 상거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다른 조치들을 제거·완화할 것을 촉구했다.

G7 소식통은 이날 오후 발표할 예정인 최종 성명이 초안에서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에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