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으로 사회 양극화 해소 '눈길' [사회공헌]

입력 2024-05-28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충청남도 아산 비데 전문기업 '에이스라이프'에서 서영민 에이스라이프 직원(왼쪽)과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담당자(오른쪽)가 비데 제품의 품질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자료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고 산업 생태계를 건강하게 가꾸기 위해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간 전국 중소기업 총 3200여 곳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삼성전자는 2023년 5월부터는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중소기업 제조 현장을 지능형 공장으로 고도화하는 '스마트공장 3.0' 사업도 시작했다.

스마트공장 3.0 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이를 통한 국토 균형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인구소멸 위험 지역 소재 중소기업을 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한다. 해당 지역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매출 증가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인재의 취업 기회도 확대하겠다는 의미다.

2022년 9월 중소기업중앙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공장 사업 지원을 받은 국내 중소기업들은 지원을 받지 않은 기업(동일 업종∙규모 기준) 대비 2017~2020년 사이 평균적으로 매출은 23.7%, 고용은 26%, 연구개발(R&D) 투자는 36.8%만큼 각각 더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비데 전문기업 '에이스라이프'는 코로나 시기 비데 수요가 급증하면서 스마트공장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그 결과 특정 라인에 지나치게 제품 생산이 몰렸던 불균형 공정을 개선하고, 자동화 검사 시스템을 구축해 생산 능력을 기존 월 2만 대에서 4만2000대로 대폭 늘릴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3.0 사업을 통해 매년 100억 원씩 3년간 총 300억 원을 투자해 600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