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주권시대’·‘법사위원장 추미애’...개딸에 사로잡힌 민주당

입력 2024-05-25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재명(오른쪽 두번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박찬대(오른쪽) 원내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 더불어민주당 당선자 총회에서 국회의장 우원식(왼쪽), 추미애 후보 등 참석자들과 미소짓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장단 경선 후폭풍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추미애 당선자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후보자로 떠올랐다. 추 당선자의 당내 국회의장 경선 패배로 당원 2만여 명이 탈당하자 타개책을 꺼내 든 것으로 보인다.

25일 민주당에 따르면 22대 국회 전반기 법사위원장 후보군으로 6선의 추미애 당선자, 4선의 정청래 의원, 3선의 박주민 의원 등이 물망에 올랐다. 통상 법사위원장은 3선 의원이 맡는 게 관례나 이례적으로 중진 의원이 후보군에 올랐다.

이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활용해 정부·여당을 견제하고 개혁 입법에 속도를 내달라는 당원들의 요구가 거세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추 당선자가 패배한 후 당원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동시에 ‘추미애 법사위원장 카드’가 부상했다.

민주당 당원 게시판 ‘블루웨이브’와 이 대표의 팬카페 ‘재명이네 마을’ 등에서는 추 당선자를 법사위원장으로 선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줄을 이었다. “우원식 때문에 난리 난 서초동 골든타임을 놓칠 수 없다”, “남은 바람은 추미애 장군님을 ‘법사위원장님’으로” 등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추 당선자의 경쟁자 격인 박 의원의 서울 은평구 지역 사무실 앞에는 “박주민 의원님, 마음대로 하셨다면 민주당 딱지 떼고 당원 없이 혼자 나가 당선되세요”라고 쓰인 대자보가 붙기도 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시·도당위원장 선출 시 당원권을 확대하거나 ‘당원주권국’ 설치를 검토하고 있지만, 쉽사리 잡히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만여 명의 당원 탈당으로 그치는가 했지만, 탈당 인원은 2만여 명으로 불어났다.

이 대표는 24일 페이스북에 “주권자와 대리인의 든든한 울타리가 될 신뢰의 벽돌을 하나하나 다시 쌓아 올리겠다”며 “포기하고 탈당할 것이 아니라 당의 주인으로서 회초리를 들어 민주주의를 위한 여러분의 도구로 바꿔달라”고 호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