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농어가소득 올랐지만…부채 규모는 더 커졌다

입력 2024-05-24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통계청, 2023년 농·어가 경제조사 결과

농가 평균소득 5083만원…전년比 10.1%↑
어가 평균소득 5478만원…전년比 3.5%↑
농·어가부채 각각 전년比 18.7%·11.3%↑

▲통계청이 24일 '2023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

지난해 농·어가 소득이 1년 전보다 올랐지만, 부채 증가 폭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평균소득은 5082만8000원으로 전년대비 467만4000원(10.1%) 올랐다. 소득 종류별로는 농업총수입에서 농업경영비를 뺀 농업소득이 17.5% 올랐다. 농업총수입은 농작물수입(10.3%), 축산수입(4.6%) 등 증가로 9.6% 올랐다. 농업경영비는 재료비(-0.4%)가 소폭 감소했지만 노무비(8.2%), 경비(13.0%) 증가로 6.6% 올랐다.

농업외소득은 1999만9000원으로 4.2% 증가했다. 이전소득은 1718만8000원으로 12.7% 증가, 비경상소득은 249만7000원으로 12.4% 올랐다.

농가의 연평균 가계지출은 3795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6.3%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농가 평균자산은 6억804만3000원으로 1.4% 감소했다. 평균부채는 4158만1000원으로 18.7% 올랐다. 농가부채는 농업용(26.1%), 겸업·기타용(28.1%)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통계청)

지난해 어가 평균소득은 5477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3.5% 증가했다. 소득 종류별로는 어업소득이 2141만4000원으로 3.3% 올랐다.

어업총수입은 7845만6000원으로 5.7% 줄었다. 어로수입(11.3%)은 증가했지만 양식수입(-18.4%)이 더 크게 떨어진 영향이다. 어업경영비는 5704만1000원으로 8.7% 감소했다. 마찬가지로 어로지출(5.3%) 증가보다 양식지출(-17.6%) 감소 규모가 더 컸기 때문이다.

어업외소득은 1463만2000원으로 15.3% 증가했다. 이전소득은 1619만원으로 5.5% 감소했고, 비경상소득은 254만4000원으로 7.2% 올랐다.

어가의 연평균 가계지출은 3389만2000원으로 전년대비 5.5% 증가했다. 소비지출은 2597만9000원으로 8.8% 증가한 반면 비소비지출은 791만3000원으로 4.1% 감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어가 평균자산은 5억1427만1000원으로 0.7% 증가했다. 평균부채는 6651만2000원으로 11.3% 증가, 평균소득 증가율 3배를 웃돌았다. 어가부채는 어업용(10.4%), 겸업·기타용(33.0%)을 중심으로 올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