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경기침체 탓…글로벌 기업 1분기 순이익 하락

입력 2024-05-23 14: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만4600개 기업 순이익 전년비 6% 감소
중국발 경기침체ㆍ공급 과잉 등이 원인

글로벌 주요 기업의 1분기 순이익이 3분기 만에 하락 전환했다. 중국발 경기침체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23일 일본 닛케이아시아(닛케이)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 세계 기업들의 순이익이 3분기 만에 감소세를 보였다.

닛케이가 미국·일본·유럽·중동 등 상장기업 약 2만4600곳의 실적을 집계한 결과 올해 이들 기업의 1분기 순이익 합계는 약 1조1100억 달러(약 1516조 원)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보다 6%가량 줄어든 규모다.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은 전 세계 기업 시총의 90%를 넘는다. 사실상 글로벌 산업계를 주도하는 이들의 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것은 작년 2분기 이후 3개 분기 만에 처음이다.

전체 17개 산업군 가운데 이익이 증가한 곳은 9개에 불과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11개 산업군의 이익이 늘었던 것을 고려하면 추이를 짐작할 수 있다.

분석 대상 기업을 나라별로 보면 중국의 이익 감소율이 10% 수준에 달했다. 특히 부동산 시장 불황 여파가 큰 은행과 철강, 기계 등 업종의 실적이 악화했다.

닛케이는 “1분기 중국의 신규 주택 판매는 전년 대비 약 30% 감소했다”라며 “주요 주택 개발업체인 차이나 반케(China Vanke)는 적자를 내기도 했다”라고 전했다.

특히 글로벌 화학산업이 부침을 겪고 있다. 중국이 국내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을 늘린 탓에 아시아 전역의 공급 과잉이 이어졌다. 이와타 게이이치 스미토모화학 사장은 “올해 아시아 석유화학 시장에서 큰 개선을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철강업계 이익도 감소했다. 일본제철을 비롯해 한국 포스코 역시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이익 감소를 겪었다.

정기섭 포스코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시장 상황은 12월을 정점으로 악화하고 있다”라며 “경기부양책 부재에 대한 중국 내 실망감이 커졌고, 중국산 제품 공급 과잉으로 동남아 시장이 약세를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