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호 산업차관 "사회적 가치 실현이 DX 시대 기업 역할…사회적 책임 독려"[2024 지속성장전략 포럼]

입력 2024-05-23 16: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필요조건"
"DX 시대 새로운 가치 만드는 핵심 키워드는 개방·공유·협업"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3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Digital Transformation) 시대 확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물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고민하고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최 차관은 이날 이투데이가 개최한 '2024 지속성장전략 포럼' 축사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이윤을 추구하는 것과 동시에 인구구조 변화, 생산성 정체, 잠재성장률 하락 등을 해소하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DX 시대 기업의 역할"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DX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다양한 변화에 디지털을 기반으로 기업의 전략과 조직, 프로세스, 문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경영전략을 의미한다.

'DX시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도전'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최 차관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최 차관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부터 최근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그리고 준법정신까지 우리는 기업에 사회적 책임을 지속해서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한국경제인협회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6명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이 강화됐다고 생각했다.

최 차관은 "최근 우리 일상과 경제는 DX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라며 "DX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핵심 키워드는 개방, 공유, 협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주요 기업은 개방·공유·협업을 실현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과 AI 스마트폰, 자율주행 등 체감 가능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라며 "여기에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통해 혁신을 촉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난제를 해소하는 새로운 책임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역할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최 차관은 "2022년 7월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을 본격 시행하고, 해외 연구자에게 산업기술 R&D를 개방했으며, 공공데이터 개방으로 다양한 영역의 풀뿌리 혁신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1000억 원 이상의 'AI 기반 신산업 펀드'도 조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AI를 통해 자율 제조, R&D, 제조업 등 전반을 혁신하는 'AI 시대의 신 산업정책'도 수립 중으로 자율 제조, 디자인, R&D, 유통, 에너지, AI 반도체 등 분야별로 전략을 마련해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최 차관은 "DX는 현재진행형 혁신이자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이라며 새로운 사회적 책임을 다 함께 고민해서 지속성장을 실현해야 한다"라며 "정부도 DX 확산에 더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도 고민하고 독려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