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바다도 덮다", 평년대비 1.0~1.5도 상승…물가 자극 '우려'

입력 2024-05-22 09:09수정 2024-05-22 09: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과원, 해양 계절예측모델 활용 '2024년 여름철 수온 전망' 발표

▲국립수산과학원 전경. (사진제공=국립수산과학원)
올여름 우리 바다 수온이 평년보다 1℃ 내외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양식장 등 수산물 피해가 예상돼 물가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은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양 계절예측모델 활용한 '2024년 여름철 수온 전망'을 발표했다.

수과원은 올여름 우리 바다의 수온은 평년(과거 30년(1991∼2020년) 평균값) 대비 1.0℃ 내외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해양 계절예측모델은 해양과 기상 자료를 이용해 3~6개월 이후의 해양변동을 계산해 예측하는 기법이다.

올여름에는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연안 및 내만 해역에서 평년대비 1.0~1.5℃ 내외 높은 표층 수온이 나타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고수온 예비주의보는 전년대비 일주일 정도 이른 시기 또는 비슷한 시기인 6월 하순~7월 상순경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며 고수온 주의보는 7월 중순께 발표돼 8월 하순∼9월 상순까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의 경우 7월 6일 예비주의보, 같은 달 28일 첫 주의보, 31일 첫 경보를 발령했고 9월 22일 전면 해제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왼쪽)과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합동 농수산물 수급안정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현장 설명회에서 인사말 하고 있다. (뉴시스)
올여름은 평년보다 높은 기온과 수온으로 고수온 특보가 한 달 이상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나, 장마전선의 소멸 시기, 북태평양고기압 및 티벳고기압 세기, 태풍 통과, 냉수대, 대마난류 수송량 변동 등 기상 및 해양 조건에 따라 변동성이 크게 나타날 수 있다.

5월 현재, 우리나라 해역은 강한 일사와 남쪽에서 따뜻한 공기 유입, 이동성 고기압 등의 영향으로 평년대비 1℃ 내외 높은 표층 수온이 지속(서남해역 일부 제외)하고 있고 지난해 여름철 엘니뇨 소멸에 따른 북태평양고기압 강화 및 확장 등 영향으로 고수온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연안의 양식장은 고수온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사전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 고수온 피해로 수산물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도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수산물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4% 올랐다. 농산물(20.3%)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지만 고수온이 지속할 경우 물가가 일시적으로 오를 수도 있다.

최용석 수과원장은 “올여름, 고수온 발생 가능성이 큰 만큼 수온 변화를 지속해서 관측하고 어업 현장에 예측결과를 신속하게 공유·제공해 수산재해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