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가장 어려운 건 인력난”…중진공, 中企 인력난 해소 위해 3000억 투입

입력 2024-05-21 15: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진공, 오찬브리핑 통해 ‘인력성장이사 소관 부서 지원 방향’ 발표
지역 인력난 해소와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및 장기 재직 지원 확대

▲조한교 중진공 인력성장이사 21일 서울 여의도 인근에서 오찬브리핑을 열고 인력난 해소 위한 사업 지원 방향을 발표했다. (사진제공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올해 총 3000억 원에 달하는 자금을 투입해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돕는다. 청년 장학생, 경력단절여성 등 잠재인력을 발굴하고, 교육ㆍ복지 확대로 장기 재직을 유도하는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조한교 중진공 인력성장이사는 21일 서울 여의도 인근에서 오찬브리핑을 열고 “과거에는 중소기업들이 자금에 대한 애로가 많았다면, 이젠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사람 문제”라고 밝혔다.

조 이사는 “통계를 보면 300인 미만 기업이 300인 이상 기업보다 인력이 2배가량 더 부족하고, 미충원율도 높다”며 “그만큼 중소기업이 인력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이사는 인력 수급 문제를 구조적인 문제로 바라보며 “저출산, 고령화라는 인구 구조의 문제까지 겹치면서 생산 가능 인구 자체가 줄어들고 있는데, 앞으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인력 격차는 더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하면 좁혀 나갈지, 또 중소기업이 새로운 인력으로 어떻게 역량을 발휘할지 등 중소기업 인력수급 지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중진공은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올해 2952억 원을 투입한다. 사업부문별 자금투입 계획을 살펴보면 특성화고, 인력양성대학 등 산합협력 인력을 양성하는 데 474억 원을, 직무ㆍ정책연수 등을 운영하는 연수사업에 239억 원을 쓴다. 또 창업패키지와 스타트업 인공지능(AI)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975억 원을, 성과보상기금인 내일채움공제에 1217억 원을, 기업인력애로센터에 47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먼저 중진공은 중소기업 빈일자리 해소를 위해 잠재인력을 발굴하고 기업에 연결하는 매칭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를 위해 청년 장학생, 경력단절여성 등 다각적인 방향에서 인력을 수급, 연계할 계획이다. 특히 이들이 중소기업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취업연계를 강화한다.

중진공은 지역인재 양성을 확대하고, 국가 전략산업분야 중소기업 재직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도 집중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인재대학을 6개교로 추가 지정하고, 지자체ㆍ유관기관 협업 지역특화 연수과정을 확대할 방침이다.

중진공은 스마트제조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지원체계를 고도화하며, 전략산업분야 중기 재직자 학위취득 지원도 확대한다. 또 공제 가입요건 완화 등 내일채움공제 사업을 활성화해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장기 재직을 유도한다. 이에 공제 가입 기간을 5년 이상에서 3년 이상으로 완화하고 타 사업과도 연계 추진할 방침이다.

글로벌 청년창업가를 발굴ㆍ육성하는 데에도 힘쓴다. 유망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을 위해 글로벌 5G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민간주도형 청년창업사관학교를 6개로 추가해 투자 유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글로벌 5G 프로그램은 창업 초기에 사전진단부터 진출준비ㆍ현지진출ㆍ투자유치ㆍ정책연계 등 5가지 시스템을 구축해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전 과정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조한교 이사는 “올해 목표가 청년창업사관학교의 르네상스를 한번 만들어보는 것”이라며 “지원 대상도 39세 이하 3년 미만 창업자에서, 이제는 나이제한 없이 7년 미만으로 확대한 만큼 내년 15주년 때에는 르네상스가 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