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5월 수출 흑자 기대…'범부처 수출 추가지원 대책' 조속히 마련"

입력 2024-05-21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경선 산업차관, '제5차 수출품목담당관 회의' 개최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5월 수출도 흑자 기조가 굳건히 유지, 8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달성을 자신했다. 특히 금융·마케팅·인증 지원 확대와 업종별·기업 규모별 맞춤형 지원 등을 담은 '범부처 수출 추가지원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는 등 현장 중심의 수출 기업 애로를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강경성 1차관 주재로 21일 '제5차 수출품목담당관 회의'를 열고 5월 수출 상황을 점검했다.

한국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기준 2022년 10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 10월 플러스 전환에 성공, 지난달까지 7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1분기에는 주요국 대비 높은 증가세를 보인 수출이 우리 경제성장을 이끌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우리 수출 호조세를 고려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3개월 만에 2.2%에서 2.6%로 상향 조정했다.

1~4월까지의 수출 성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6% 증가한 2200억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52.0%)・디스플레이(+13.4%)・컴퓨터(+36.4%) 등 정보기술(IT) 품목이 두 자릿수 이상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작년부터 이어온 자동차(+4.7%)・선박(+47.5%)・일반기계(+0.9%) 등 주력 수출 품목 호조세도 지속됐다.

강 차관은 "1분기까지는 반도체가 수출 증가세를 최전선에서 견인했다면, 4월에는 IT 전 품목과 대다수 주력품목이 골고루 증가세를 이끌었다"라며 "5월에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지면서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기조는 굳건하게 유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흐름이 올해 최대 수출실적 달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민관이 원팀으로 총력 지원할 예정”이라며 "이를 위해 금융·마케팅·인증 지원 확대와 업종별·기업 규모별 맞춤형 지원 등을 포함한 '부처 수출 추가지원 대책'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 함께 조속히 마련하고, 현장을 중심으로 수출기업의 애로를 즉시 해소해 우리 기업이 수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