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불안에 원자재 가격 ‘출렁’…금·구리값 사상 최고치

입력 2024-05-20 17: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 현물 1.4%↑, 지난달 기록 장중 최고치 뛰어넘어
구리, 사상 첫 톤당 1만1000달러 돌파
라이시 대통령 사망·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등 반영
글로벌 원자재 지수, 16개월래 최고 수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서 금괴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금과 구리 가격이 지정학적 긴장감과 공급 차질 우려 등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아시아시장에서 금 현물 가격은 장중 전 거래일 대비 최대 1.4% 상승한 온스당 2450.07달러로 지난달 기록했던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의 헬기 추락사에 따른 중동 지역의 긴장 고조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영향을 미쳤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지난주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시장 전망을 밑돌았다. 이에 따라 연준이 금리 인하 개시 시점을 앞당길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졌다. 이 소식에 달러화가 하락하면서 달러로 가격이 책정되는 금값은 상승하게 됐다. 여기에 라이시 대통령 사망 소식이 전해지면서 중동을 둘러싼 지정학적 불안감이 커져 안전자산으로서의 금의 매력은 한층 커졌다.

시드니 ABC정제소의 니콜라스 프라펠 애널리스트는 “금값 랠리는 이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주도되고 있다”며 “아주 적은 정보를 바탕으로 결론을 성급하게 내릴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구리 가격도 올랐다. 런던금속거래소에서 구리 선물 가격은 이날 아시아시장 거래에서 장중 4% 이상 뛰면서 사상 처음으로 톤(t)당 1만1000달러를 넘기도 했다.

구리는 공급 부족 심화를 우려한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최근 상승세를 보인다. 전기자동차 생산을 비롯해 주택 건설, 전력망 강화 등에 구리가 필수 원자재로 쓰이기 때문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앱과 서버를 실행하는 데이터센터에서의 에너지 소비가 구리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투자 전문매체 배런스는 “금은 좋고 구리는 더 좋다”며 “금은 올해 약 16% 상승했고 구리는 25% 넘게 올랐다”고 설명했다.

24개 원자재의 글로벌 가격을 종합한 블룸버그원자재현물지수는 지난해 1월 이후 16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