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지수 오르자 다시 고개 드는 ELS…"고위험 경계" 목소리도

입력 2024-05-20 16: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中 부동산 부양책에 H지수 40% 급등

▲여의도 증권가. (이투데이)

홍콩 항셍(H) 지수 관련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시장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바닥을 찍은 H지수가 반등하면서 수익을 보려는 투자 수요가 늘면서다. 다만 H지수 ELS 대규모 손실 사례의 배상 문제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고위험 ELS 가입에 대한 경계심을 풀지 말아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0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에 따르면 이달 들어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지수형)의 발행액은 781억 원으로 이미 지난달 발행액(711억 원)을 넘어섰다. H지수는 홍콩증시에 상장된 50개 중국 기업들로 구성된 항셍중국기업지수(HSCEI)를 의미한다.

H지수 ELS 발행 시장은 올해 저점을 찍고 다시 반등하고 있다. 1월 350억 원이던 발행규모는 2월 203억 원으로 주저앉았다가 △3월 463억 원 △4월 711억 원 △5월 781억 원으로 불어나고 있다.

H지수 하나만 기준으로 삼는 ELS도 점진적으로 늘고 있다. 올해 들어 H지수를 단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공모형·원화)의 발행액은 18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억5100만 원) 대비 급증했다. 2022년 46억 원, 2021년 7억 원 규모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올 들어 발행이 활발했다.

H지수 발행 시장이 다시 뜨거워지는 것은 H지수가 반등해서다. 18일 H지수는 종가 기준 6934.70으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던 1월22일(5001.95)와 비교해 39% 급등했다.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부동산 경기 부양과 증시 안정화에 나서면서 주식시장도 회복된 덕이다. 지수가 7000선 돌파를 바라보면서 과거 ELS 가입자들의 원금 보전 사례도 조금씩 나오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증권사들의 경우 저점을 통과했다는 판단 하에 조금씩 ELS 상품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기초 주가연계증권(ELS) 피해자 모임 회원들이 15일 오후 서울 중구 NH농협은행 앞에서 열린 '대국민 금융 사기 규탄 집회'에서 투자 원금 전액 배상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4.03.15. kgb@newsis.com (사진=뉴시스)

다만 홍콩 경기와 H지수 반등의 지속 가능성이 여전히 불안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특히 원금이 반토막이 된 가입자들이 집단소송 등을 준비하고 있는 만큼, ELS 투자에 대해 경계심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홍콩 증시에 대해 "중국의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공급 과잉에 의한 구조적인 이슈로서 단기 내에 해소하기 어렵고 정부의 재정 부담에 따라 경기 부양의 수단 또한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어 주식시장의 상승은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 것으로 판단된다"며 "홍콩H지수 기준 7000포인트 이상의 영역은 과매수 영역에 해당된다"고 짚었다.

홍콩ELS피해자모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발표한 배상 비율을 수용하지 못한 사람들이 대다수인 만큼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라며 "노후 자금을 잃거나 전 재산을 잃은 이들이 불완전판매를 주장하고 있는 와중에도 위험한 ELS 상품을 발행, 판매하는 금융사는 자기 배만 불리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