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로크, 원전 보안 솔루션 대응력 강화…"AI·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 증가 수혜"

입력 2024-05-20 12: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벨로크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관할 원자력발전소 보안 솔루션의 대응력 강화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 구현을 위한 핵심 전력 인프라로 원전이 주목받고 있어 국가 핵심시설인 원자력발전소 내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벨로크는 국내 모든 원자력발전소의 보안 업무를 동시에 진행해 원전 보안 역량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AI 데이터센터 구축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원전이 핵심 전력공급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AI 기술 구현에 필요한 전력은 전기차의 약 5~6배에 달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는 지난해 버지니아 데이터센터 가동을 위해 미국 최대 원전 기업으로부터 전력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원자력발전소는 국가 1급 보안시설로 지정돼 안전과 함께 보안이 중요한 시설이다. 기술 정보가 유출될 경우 국가적인 위협과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요 원전 수입국들은 사이버보안 시스템 구축을 필수 요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벨로크는 2021년 원자력발전소 보안 시장에 진출해 발전소 보안에 특화된 조직구성으로 원자력, 수력, 화력 등 발전소에 보안 솔루션을 공급해오고 있다. 보안 설비 공급사와 긴밀한 파트너십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신규 원전 건설 및 수출 시 추가 수주 가능성도 높을 것이라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벨로크 관계자는 “원자력 등 국내 주요 발전소에 보안 솔루션 공급 레퍼런스를 보유 중인 가운데, AI 기술 발전으로 전력설비 등 전력 인프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향후 신규 수주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원전 보안이 수출경쟁력의 핵심 요인으로 꼽히고 있는 만큼 연구인력 중심의 기술 고도화를 통해 원전 보안 역량 강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국내 신규 원전 2기 이상 건설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고 체코 등 해외 원전 수출 가시화로 벨로크의 원전 보안 사업 수혜가 기대되는 상황”이라며 “한수원 원전 보안 총괄 업무를 통해 국내 원전 보안 분야 대표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