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PF 부실사업장 대거 쏟아질 수도…2금융권 연쇄 파장 '촉각'

입력 2024-05-19 08:07수정 2024-05-19 08: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주요 개선 사항 (자료=금융감독원)

2금융권, 2분기부터 건전성 지표 부담 확대
국내 신평사, PF 부실 손실인식 앞당겨질 것 우려

다음 달부터 전국 5000여곳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금융당국이 이달 13일 발표한 새 사업성 평가 기준이 적용되는 가운데 최초 평가에서 ‘부실 우려’ 등급이 대거 나올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최초 평가 대상이 전국 사업장의 30% 수준에 달하는 만큼 당장 2분기부터 브리지론 비중이 큰 2금융권은 건전성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다.

19일 금융당국 및 금융권에 따르면 6월부터 시행되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개선안의 1차 평가 대상 사업장 규모는 전국의 약 30% 수준이다. 당국은 사업성 평가 기준을 현재 3단계(양호·보통·악화우려)에서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로 세분화했다. 기존 악화우려 사업장은 금융사가 대출액의 30%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했는데 앞으로 부실우려 사업장은 75%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최초 평가 대상으로 ‘연체’ 혹은 ‘3회 이상 만기를 연장한 사업장’을 지목한 만큼, 금융권에서는 이 중 다수가 구조조정 대상인 ‘유의’나 ‘부실우려’ 등급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추가 충당금 적립 등 손실 인식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실제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이번 대책으로 2금융권의 구조조정 시계가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나이스신용평가는 부동산 PF 사업장의 경·공매가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부실사업장 재구조화가 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PF부실 상황 악화에 대비해 제2금융권의 경영에 무리가 없는 범위 내에서 추가 충당금 적립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나신평은 최근 분석에서 증권(1조1000억∼1조9000억 원), 캐피탈(9000억∼3조5000억 원), 저축은행(1조∼3조3000억 원) 등 3개 업종의 부동산 PF 추가 적립 필요 충당금 규모가 최소 3조 원에서 최대 8조7000억 원이 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그래픽=신미영)

송기종 나신평 금융평가본부금융평가1실장은 “부동산 PF 재구조화·정리로 인해 제2금융권이 보유한 상당수 부동산 PF 사업장에서 관련 손실 인식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해당 손실 규모는 브리지론, 중·후순위 등 고위험 부동산 PF 비중에 따라 개별 회사별로 차별화돼 나타날 수 있다”면서 “이러한 손실 규모는 대체로 기 적립 대손충당금 규모를 상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윤희경 한국기업평가 금융1실 수석연구원은 “무분별한 만기연장 및 경·공매 지연 가능성을 낮춰 PF 구조조정을 앞당길 것”이라면서 “특히 중·후순위 익스포저 중심으로 손실 인식이 앞당겨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PF사업성 평가기준에서 브리지론 평가체계를 강화해 손실 부담이 확대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한기평 분석 결과 업권별 브리지론 익스포저 비중은 증권사 30.1%, 캐피털사 37.7%, 저축은행56.6% 수준이다. 윤 수석연구원은 “이번 사업성 평가기준 개선안에는 토지매입 지연, 인허가 및 본PF 전환 지연, 공정 및 분양지, 수익구조 악화 등 위험요인이 내재한 경우에도 평가등급을 ‘유의’ 또는 ‘부실우려’로 부여하게 된다”면서 “기존에는 사업지연 등의 사유에 대체로 자산건전성을 ‘요주의’ 위주로 분류했으나 개선안 반영 시 ‘고정이하’로 분류될 익스포저가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기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PF요주의이하자산은 증권사 6조3000억 원, 캐피털사 5조5000억 원, 저축은행 4조 원이고, PF 대손충당금(전체 )/PF 요주의이하자산비율은 증권사 26.5%, 캐피털사 23.4%, 저축은행 16.0% 수준이다.

위지원 한신평 금융·구조화 평가본부 금융1실장은 “올해 2분기 이후에는 부동산PF 부문의 고정이하 여신 규모가 상승하고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강화된 사업성평가 기준은 6월 이후 금융회사별 자체적인 순차 적용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