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 주거정책 방향은 '포용·안정·지속가능'

입력 2024-05-14 13: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개 전략, 19개 과제…'2024년 주거복지 시행계획' 수립·추진

▲수원특례시청 (수원특례시)
수원특례시는 '포용·안정·지속가능'을 방향으로 설정한 '2024년 주거복지 시행계획'을 수립·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시 주거복지 종합계획(2020~2024)을 토대로 수립한 해당 계획은 5개 전략, 19개 추진 과제, 38개 단위사업으로 이뤄져 있다.

'포용'은 획일적이고 소극적인 주거복지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 특성과 자원을 고려한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미다.

'안정'은 △주거여건 향상을 위한 제도 마련 △독자적인 공공주택 모형 개발 △도시재생 △그린 리모델링으로 가시적인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진행하는 내용이다.

'지속가능'은 다양한 계층이 함께 사는 마을공동체를 회복하기 위한 폭넓은 주거정책을 추진하는 게 핵심이다.

5개 전략은 △주거취약계층 지원 강화 △공공주택 공급 확대 △주거복지 추진 기반 구축 △노후주택 주거환경 개선 △모두를 위한 주거공동체 조성이다.

38개 단위사업으로는 △수원형 주거기준 도입·공포 △주택물색·계약 지원사업 △가족돌봄 공동체주택 '허그&허브' 운영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증료 지원사업이 있다.

시 도시재생과가 정책을 총괄하고, 과제별 소관 부서와 수원도시재단이 정책을 함께 시행한다.

시 관계자는 "시민의 거주 불안을 해소하고, 안정된 주거환경에서 지속가능한 주거공동체를 만들겠다"며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주거복지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5개 추진전략, 19개 추진과제, 35개 단위사업으로 이뤄진 '2023년 주거복지 시행계획'을 수립·추진한 바 있다. 해당 계획 성과지표 달성률은 123.8%에 달했다. 달성률이 100% 이상인 사업은 27개로 나타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