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업계 이어 저축은행도 2천 억 규모 2차 PF펀드 조성…부실채권 정리 속도

입력 2024-05-14 12:00수정 2024-05-14 16:2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30억 원 규모 1차 펀드 이어 2000억 원 수준 펀드 추가 조성
22개 저축은행 참여…부실 PF 채권 정리 속도 내 건전성↑
금융당국 '부동산 PF연착륙 정책방향'엔 "충당금 감내 가능"
3ㆍ4차 부실채권 정리펀드 추가 조성해 건전성 제고 노력 강화

여신전문업계에 이어 저축은행 업계도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정리를 위해 약 2000억 원 규모의 자체 펀드를 조성한다. 부실채권 매각에 속도를 내 저축은행 업계의 자산건전성을 높이려는 조처다.

14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PF대출 취급 상위사 및 지주계열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20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참여 의사를 밝힌 저축은행은 총 22곳이다.

앞서 330억 원 규모의 1차 부실채권 정리펀드 투자 완료에 이어 추가 조성한 펀드로, 부실채권을 신속히 털어내 건전성을 높이려는 취지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부동산 PF 연체율은 6.94%로 전년 말(2.05%) 대비 3.4배가량 급상승했다.

지난해 9월 말 조성한 1차 펀드는 올해 3월 말 총 5개 사업장에 전액 집행 완료됐다. 1차에서는 중앙회와 저축은행 10개사(BNK·IBK·KB·NH·OK·신한·우리금융·웰컴·하나·한국투자)가 투자자로 참여했다.

1차 펀드는 웰컴자산운용 한 곳이 전담해 운영했지만, 2차 펀드는 규모가 1차의 6배에 달하는 만큼 신속 효율적인 투자 진행을 위해 복수의 운용사를 선정해 이뤄질 예정이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시장의 수요 및 가격 차이와 대주간 협의의 어려움 등으로 (부실채권) 매각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며 "이런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조성한 이번 펀드가 저축은행의 부실자산 정리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당국 'PF 사업장 재평가 기준'에 "충당금 추가 적립 규모, 감내 가능한 수준"

저축은행중앙회는 전일 금융당국이 발표한 '부동산 PF의 질서 있는 연착륙을 위한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규제 완화 등 인센티브 제공으로 부실 채권 정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안에 따라 추가되는 충당금 적립 부담도 업계에서 충분히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고 했다.

금융당국은 PF 사업장의 사업성 평가 등급분류를 현행 3단계에서 4단계로 세분화하는 내용을 담은 부동산 PF 연착륙 대책을 발표했다. 금융회사가 지켜야 하는 지침인 'PF 리스크 관리 모범 규준'을 개정해 사업성을 엄격히 평가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당국은 일부 규제가 PF 정상화 지원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에 따라 '당근책'도 제시했다. 신규자금 공급 시 사업성 평가 기준을 완화하고 특히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PF대출에 대한 유가증권 보유 한도를 초과할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허용했다.

중앙회 관계자는 "PF사업장의 재구조화 및 유동성 지원, 저축은행 유가증권 투자 한도 등 한도 규제의 한시적 완화 등 인센티브 제공은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정리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과 관련해 저축은행의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는 시각이 있지만, 저축은행 업권은 충분한 자본적정성과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으로 충분히 감내 가능한 수준으로 본다"고 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업권의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비율은 14.35%로, 법정 BIS비율인 7~8%를 웃도는 수준이다.

업계는 참여 저축은행 확대, 다양한 매각 구조 검토 등을 통해 3,4차 펀드도 추가 조성할 방침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경·공매 활성화, 자체상각 등을 통해 부실자산을 조속히 정리해 서민과 중소상공인 등 거래자가 안심하고 저축은행을 믿고 이용할 수 있도록 건전성 제고 노력을 강화해 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달 12일 여신금융협회도 1600억 원 규모의 1호 PF 펀드 출자금이 거의 소진되면서 후속펀드 조성을 2000억 원 규모로 추가 조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