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 영업익, 4년새 92%↓…업계 “비상경영 돌입”

입력 2024-05-13 19: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제공=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케이블TV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의 방송부문 영업이익이 2018년 2334억 원에서 2022년 192억 원까지 92% 줄어들었다고 13일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MSO의 방송부문 영업이익률은 2018년 12.6%, 2019년 11.1%, 2020년 5%, 2021년 2.5%, 2022년 1.2%로 5년 간 누적 11.4%포인트(p) 하락했으며, 영업이익은 약 2000억 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MSO 중 A사는 2023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5.6% 하락했고, B사는 2022년 방송사업 부문 영업이익률이 -3.5%로 적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케이블TV는 지역 단위 허가사업자로 인터넷TV(IPTV) 및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경쟁사업자 대비 다양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다. 그러나 30여 년 전 부여받은 지역채널 운용 의무로 인해 투자비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협회 관계자는 “이와 같은 이익 감소 추세를 고려하면 방송 매출 및 영업이익률 적자 폭은 곧 더 확대돼 케이블 산업이 존폐 위기에 놓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설상가상 유입 재원이 감소함에 따라 미디어 생태계 속 갈등도 심화하고 있다. 케이블TV가 지상파, 종편, 일반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에 지급하는 총 콘텐츠 사용 규모는 2022년 기준 5336억 원으로 총수신료 매출 대비 86.8% 수준이다.

특히 지상파 채널의 경우 시청률이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어 인접 홈쇼핑채널의 매출 하락 및 홈쇼핑 사업자가 케이블TV에 지급하는 송출 수수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설명이다.

협회 관계자는 “그럼에도 채널 평가나 재송신료 지급 기준 없이 유료방송 생태계를 파괴할 수준의 재송신료 인상 지급을 지속 요구하고 있어 케이블TV의 경영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케이블TV 업계는 협회를 주축으로 비상경영대책회의체를 구성, 케이블TV의 경쟁력 강화와 재도약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