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 아쉬운 물가 지표에도 하방 경직…부동산이 상승 지속 관건”[차이나 마켓뷰]

입력 2024-05-13 08: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KB증권)

13일 KB증권은 최근 발표된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자기수(PPI)가 모두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서비스 소비가 상승을 견인하는 등 아쉬운 면이 있으며, 향후 증시 오름세가 지속하기 위해서는 부동산 지표가 호전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11일 발표된 중국 4월 CPI는 전년 대비 0.3%를 상승했다. 전월치 0.1%와 예상치 0.2%를 웃돌았다. PPI는 전년 대비 2.5% 감소해 전월치 –2.8% 대비 하락폭을 줄였지만, 예상치 –2.3%를 밑돌았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CPI의 경우 소비재 물가가 12개월 만에 반등했으나 여전히 청명절 여행과 연관된 서비스 소비가 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며 “PPI는 저가 수출물량 확대로 예상보다 더딘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외에도 부진한 부동산 경기도 물가 회복의 저해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4월 유동성 지표로 사회융자총액은 전년 동월 대비 1987억 위안 감소했고, M1은 27개월만에 –1.4%로 27개월만에 역성장했다. 박 연구원은 “부진한 내수경기로 자금조달 수요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는 것으로 보인다”며 “가계 중장기 대출도 –1666억 위안을 기록해 마이너스로 전환하면서 주택구매 수요도 부진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부동산 지원 방안 발표 시기가 4월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실제 정책 영향이 지표로 확인되기 위해 최소 1~2달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KB증권은 아쉬운 물가 지표에도 중국 증시는 지원 정책에 대한 기대로 하락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부동산 지표에 따라 상승세와 하락세가 갈릴 것으로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상반기 중 지준율 및 금리인하를 발표할 예정이며, 발표된 경기부양책 효과 및 추가로 공개 가능성이 있는 증시 지원방안 등으로 중국 증시는 강한 하방 경직성을 나타낼 전망”이라며 “다만, 아직 기업 이익은 하향 추세를 지속 중이므로 기대감만으로 상승세가 지속하기는 어렵다. 내수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부동산 지표 호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주요지표로 가계 중장기 대출, 주택거래 면적, 70대 도시 주택가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