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동산 문제, 금융으로 번질 우려"

입력 2024-05-06 10:17수정 2024-05-07 09: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PF 위험 고조되면 일부 비은행, 증권사 위험"

▲서울의 한 공사현장 전경. (이투데이DB)

국내 부동산 부실 문제가 이어지면서 비은행 금융기관과 증권사 일부가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금융기관 간 상호거래 증가 추세를 자세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6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레나 쿽 애널리스트는 '한국의 부동산 분야 스트레스가 시스템적 위험을 초래할 것인가' 보고서에서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 등을 인용하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은행·보험사의 경우 부동산 부문 위험 노출액(익스포저)이 크지 않고 손실 흡수 능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비은행권의 부동산 대출 문제가 시스템적 위기로 비화할 가능성은 작지만, 주의가 필요하다고도 언급했다.

또 금융 불안정이 발생하면 시스템적 위험을 피하고자 금융기관 간 상호거래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기관 간 상호거래는 지난해 6월 말 기준 3554조 원 규모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3% 늘어났다.

이 가운데 △은행-비은행권 상호거래 1236조 원(34.8%) △비은행권 내 상호거래 2145조 원(60.3%) △은행권 내 상호거래 174조 원(4.9%)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한국 부동산 분야의 채무 불이행(디폴트) 전염 위험이 크지 않다면서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험이 고조되고 경제 전반에 타격을 줄 때 더 큰 압력에 직면할 수 있다고 봤다.

다행히 디폴트 전염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인 뎁트랭크는 지난해 2분기에 0.34를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0.37)보다는 내려왔다.

쿽 애널리스트는 충격이 와도 국내 금융기관들이 회복력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은행 및 비은행금융기관의 자본 적정성 비율이 양호했고 지난해 10월 일반은행의 유동성커버리지비율도 원화(110.5%)와 외환(154.7%) 모두 감독기준을 넉넉히 넘어섰기 때문이다.

다만 증권사들의 유동성 대응능력은 감독기준을 살짝 웃도는 만큼, 부동산 경기 둔화와 높은 단기금리 등을 고려할 때 자금 압박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3분기 말 증권사의 조정 유동성 비율은 104.3%에 그쳐 감독 기준인 100%보다 불과 4.3%포인트 높았기 때문이다. 조정 유동성 비율은 잔존만기가 3개월 이내인 유동성 부채, 채무보증의 합산액 대비 잔존만기가 3개월 이내인 유동성 자산의 비율로 계산하며, 이 비율이 100% 아래면 우발 채무 발생 시 자체 유동성을 통해 감당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특히 증권사의 PF 관련 대출 연체율은 다른 금융기관과 비교해 두드러진다. 금융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말 3.37%였던 증권사 PF 대출 연체율이 지난해 말 13.73%로 상승한 상태다. 저금리와 부동산 가격 상승 시기에 PF 사용이 늘어났고, 증권사들은 PF 대출을 증권화해서 투자자들에게 판매해왔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앞서 지난달 한국이 그림자 금융(비은행 금융) 분야에서 자세히 주시해야 할 약한 고리로 떠오르고 있다며 티로웨프라이스와 노무라증권 등 일부 금융기관이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