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건물 에너지성적표 첫 공개...탈탄소 본격 착수

입력 2024-05-02 13:59수정 2024-05-02 14: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2일 열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건물 컨퍼런스’에 참석한 오세훈 서울시장, 김상협 탄녹위 위원장, 안덕근 산자부 장관, 박상우 국토부 장관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정용욱 기자 dragon@)

‘B’.

서울시청 건물의 에너지 성적표가 나왔다. 2022년 기준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156kWh/㎡로, 평균(C)보다 높은 상위등급을 획득했다. 건축 당시 에너지효율을 높여 사용량을 최소화한 결과다. 건물 ‘연비’가 좋아 냉·난방, 조명, 환기 등에 전기·도시가스를 덜 사용한 것이다. 건물의 에너지사용량을 평가해 등급을 부여한 건 전국에서 서울시가 최초다. 서울시 주도로 건물 탄소중립 여정이 본격 시작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일 서울시가 건물 탈탄소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공식 발표했다.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을 신고하고 등급을 매겨 최종적으로 총량을 관리하겠다는 것. 일명 ‘기후동행건물 프로젝트’다. 서울시는 상징적으로 서울시청 및 소유건물의 에너지사용량 등급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소유건물 517개 중 457개소 등급을 평가한 결과 A(6.3%), B(39.4%), C(35.98%), D~E (18.4%)의 분포를 보였다. 산업부의 등급 설계분포 비율보다 B와 C 비율이 각각 16.4%, 4.98% 높았다. 에너지사용 관리상태가 예상보다 양호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열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건물 컨퍼런스’에 참석해 “그동안 목표와 이상만 있고 실천방안이 부족했다”며 “기후동행건물이 자리를 잡으면 서울시가 기후대응을 선도하는 도시로 세계에서 인정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의 건물 에너지등급 발표가 의미 있는 건,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로 가는 발판이기 때문이다. 건물 에너지사용량을 정확히 진단해야 온실가스 다이어트 목표를 세우고 감축에 나설 수 있어서다. 건물 에너지사용량 신고제->등급제->온실가스 총량제로 이어지는 퍼즐이 완성돼 가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는 올해 신고·등급제를 공공 의무, 민간 자율로 운영하다가 내년 비주거 건물 약 1만4000동을 대상으로 전면 시행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2026년엔 총량제 전면 시행이 목표다.

건물 온실가스 배출 저감 성과를 내고 있는 해외 주요 도시들은 이미 진도를 많이 뺐다. 미국 뉴욕은 ‘에너지스타(Local Law 95)’에 따라 2009년부터 건물 에너지등급 부착이 의무화됐다. 일정 규모 이상 건물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여하는 ‘총량제’도 올해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일본 도쿄는 건물 에너지 배출량 거래제까지 도입,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 달성을 유도하고 있다.

서울시도 일찌감치 정책 마련에 나섰지만, 관련 법 개정이 난항을 겪어왔다. 2022년 7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산업부와 MOU를 체결하면서 해결 물꼬가 트였다. 산업부는 건물 에너지사용량 관리 권한 이양을 위한 제도 정비에 착수했고, 올 2월엔 에너지원단위 목표관리 제도를 고시했다.

이날 서울시와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공동 개최한 컨퍼런스에 앞서 오 시장, 김상협 탄녹위 위원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업무협약을 체결, ‘기후동행건물 프로젝트’ 지원에 협력하기로 했다. 김상협 탄녹위 위원장은 “서울시의 신고, 등급, 총량제 정책은 녹색 건물로의 커다란 전환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탄녹위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