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환자 많은 ‘결핵성 심낭염’, 다학제 진료 효과 확인

입력 2024-04-09 12: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미향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 ‘양전자단층촬영’ 활용 치료 성공적

▲결핵성 심낭염 환자의 치료 전후 영상. 치료 전 밝게 빛나던 심낭이 치료 후 인근 부위와 유사한 음영을 보이고 있다. (사진제공=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양전자단층촬영을 활용하는 다학제 접근법이 심장에 물이 차는 ‘결핵성 심낭염’ 치료에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 정미향 순환기내과 교수(교신저자)와 오주현 핵의학과 교수(공동 제1저자) 연구팀은 심장초음파와 양전자단층촬영(18F-FDG PET/CT)의 다학제 영상 검사를 결핵성 심낭염의 초기 진단뿐 아니라 치료 경과 확인에 이르기까지 활용해 효과적으로 환자를 치료했다고 9일 밝혔다.

결핵성 심낭염은 심장을 보호하는 심낭에 결핵균이 감염돼 삼출액이 가득 차 심장을 압박하고 심부전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로 흉통, 기침, 호흡곤란과 같은 증상과 함께 발열, 식은땀, 피로 및 체중 감소와 같은 비특이적 전신 증상이 동반된다.

지금까지 결핵성 심낭염의 감별 진단 전략은 심장초음파, CT, MRI, 양전자단층촬영을 비롯한 각종 영상 검사와 검체 검사를 병행하는 복합적인 방식이었다. 치료 후 경과 평가 방법은 아직 구체적으로 정립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심장초음파 검사에 양전자단층촬영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환자의 심낭 내 염증 개선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치료 평가에 유용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결핵성 심낭염은 일반적으로 6개월간 항결핵제를 복용 후 치료를 종료하게 되나, 염증의 충분한 개선 여부를 심장초음파만으로는 정확히 알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양전자단층촬영을 보조적으로 활용해 치료 종료 시점의 염증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면, 결핵성 심낭염의 재발이나 합병증으로 인한 유착성 심막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개별화된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양전자단층촬영은 종양 세포나 염증 부위에서는 정상 세포 대비 포도당 사용량이 현저히 높은 특성을 이용한 검사다. 동위원소가 함유된 포도당 유사체를 체내 주입 후 상대적으로 밝게 빛나는 부위의 형태를 확인한다. 기존에는 주로 암 환자의 진단 및 추적 관찰용으로 활용됐지만, 최근에는 염증 유무 및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도 활용되고 있다.

정미향 교수는 “이제까지 양전자단층촬영은 심낭 질환의 초기 감별 목적에 한해 유용함을 인정받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치료 후 경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했다”라며 “전체 결핵 환자 중 1~2% 내외가 결핵성 심낭염으로 이환되는만큼,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고령 비율이 높은 결핵성 심낭염 환자들에게 더 안전한 진료를 제공하는데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심장저널-심혈관영상(European Heart Journal - Cardiovascular Imaging)’에 3월 27일 자로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