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진료 일정 변경’ 문자의 공포

입력 2024-04-04 05:00수정 2024-04-04 07: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노승길 정치경제부 기자

나는 혈액암 환자다. 2021년 1월 진단을 받았고 그해 6월 골수이식이라 불리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았다. AB형이던 혈액형은 공여자의 혈액형인 B형이 되었고, 이식 후유증인 이식편대숙주병이 장과 근육, 피부, 구강으로 와서 혼자서는 걷지도 못하고, 생리현상도 조절 못 해 기저귀를 차고 지냈으며, 온몸은 화상을 입은 것처럼 진물이 흘렀다.

그해 말 상태가 호전돼 퇴원했지만 1~2주 마다 외래진료를 봐야 했고, 혈소판 수혈도 받아야 했다. 기자의 집은 충북 청주지만 이 지역에는 이식센터가 없어 서울에서 이식수술을 받았다. 그렇기에 매주 서울을 찾아 4~5시간의 대기를 하고, 1분가량의 진료를 본 후 4시간의 수혈을 받고 약을 타서 청주로 돌아오는 생활을 반년 가까이 반복했다.

현재는 복직과 일상이라는 과분한 호사를 누리고 있지만, 아직도 매일 면역억제제를 먹고 있으며 3개월마다 서울을 찾아 피검사와 진료를 받고 있다.

최근까지도 외래진료를 볼 때면 대기할 의자가 모자라 바닥에 가방을 깔고 앉아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 세상의 반은 암 환자가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들 정도다. 기자의 담당 교수는 정말 화장실 갈 시간도 없어 보인다.

그런데 의사들이 의사를 늘리는 일에 반대를 하고 있다. 물론 그들이 의대 증원을 반대하는 이유도 있다. 인기과 쏠림 현상이 커져 의료질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의사 수가 아니라 의료수가를 높여야 비인기 진료과에 의사가 많아질 것이라고 한다.

문제는 정부와 의료계의 의대 증원을 둘러싼 힘겨루기가 너무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혈액암 환우가 모인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외래 진료 일정 변경의 문자를 받고 눈물을 흘렸다는 글이 보인다. 우리에게 진료와 수혈, 약 수령 등은 생명과 직결된다. 실제로 의료 대란 탓에 33개월 아기가 병상 부족을 이유로 이송을 거부당해 숨지는 말도 안 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급기야 대통령이 증원 규모 조정의 여지를 담은 담화문까지 발표했지만, 의료계의 반응에서 해결의 의지를 찾기는 쉽지 않다.

기자가 아니라 한 명의 환자로서 의료계에 부탁하고 싶다. 의료계는 이 비정상적인 의료 공백 사태를 끝내기 위해 의대 증원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정부와 대화를 이어나가 주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