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펀드 재미 못 본 사우디, AI 직접 투자 나선다…400억 달러 기금 조성

입력 2024-03-20 14: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PIF, 앤드리슨호로위츠 등과 파트너십 논의
하반기 새 투자 착수 전망
오일머니 앞세워 단숨에 ‘큰손’ 떠오를 듯
자체적인 AI 회사 설립도 고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지난해 12월 6일 리야드에서 한 회동 도중 미소를 짓고 있다. 리야드/AP뉴시스
사우디아라비아가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의 비전펀드에 거액을 투자했으나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한 뒤 인공지능(AI) 분야에 직접 대규모로 베팅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1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사우디 정부가 AI에 투자하기 위해 약 400억 달러(약 53조5520억 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사우디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이끄는 국부펀드 공공투자펀드(PIF)는 최근 실리콘밸리 최고 벤처캐피털 업체 앤드리슨호로위츠 등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PIF 관계자들은 최근 논의에서 AI 펀드를 어떻게 운용할지와 앤드리슨호로위츠가 이 펀드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계획은 사우디의 글로벌 비즈니스 야망과 함께 경제 다각화 및 지정학적 영향력을 키우려는 노력을 잘 보여준다고 NYT는 짚었다.

사우디는 올해 하반기 새로운 투자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중동 오일머니로 무장한 사우디가 이러한 계획을 추진하게 되면 최근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AI 분야의 세계 최대 투자자로 단숨에 급부상하게 될 전망이다.

또 사우디는 반도체 제조사와 AI 관련 스타트업 지원은 물론 자체적인 AI 회사 설립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우디는 그동안 IT 부문에 막대한 돈을 투자했으나 전반적으로 큰 성과를 보지 못했다. 앞서 사우디는 2016년 차량 공유업체 우버에 35억 달러를 쏟아부었다. 또 소프트뱅크가 조성한 1000억 달러 규모의 비전펀드에 450억 달러 자금을 댔다. 하지만 이 자금은 현재 AI 열풍을 이끄는 엔비디아 같은 업체에 투자된 것이 아니라, 지금은 파산한 위워크나 로봇 피자 제조회사 줌 등 다른 실패한 스타트업에 투입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