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일 대신 처리해 높은 수준 활동 지원”
2030년 유인 달 기지 운영 앞서 건설 작업 수행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3/600/20240317164828_2000272_615_461.jpg)
최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은 우주 공간에서의 활동을 염두에 두고 휴머노이드 로봇 ‘발키리’를 개발했다. 북유럽 신화의 여성 전사에서 이름을 딴 발키리는 현재 텍사스주 휴스턴 존슨우주센터에서 성능을 검증받는 중이다. 이 로봇은 자연재해로 피해를 본 지역과 같이 인간이 설계한 환경이 열악하거나 손상된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됐으며, 궁극적으로는 우주 임무 수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발키리는 키 188cm, 무게 136kg 거대한 체구로 머리, 몸통, 두 팔, 두 다리 등 사람의 모습을 띠고 있다. 네 개의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 지퍼로 된 가방을 열거나, 나사를 조이는 것과 같은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다. 엔지니어들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과 유사하게 기능하고 같은 도구와 장비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숀 아지미 나사 로봇개발부서 팀장은 “우주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태양 전지판을 청소하거나, 우주선 외부의 오작동하는 장비를 검사하는 등 위험한 작업을 처리함으로써 우주비행사는 탐사 및 발견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며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 승무원을 대체하려는 것이 아니라 지루하고, 더럽고, 위험한 작업을 대신해 인간이 높은 수준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나사가 우주에 보낸 로봇들은 인간의 모습이 아니라 대개 다수의 바퀴를 단 자동차 모습을 닮아 있었다. 달이나 화성 같은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 탐사 임무를 맡을 때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설계된 것이다. 하지만 2030년까지 유인 달 기지를 운영하겠다는 목표가 세워진 이후 각종 위험한 건설 작업을 수행할 로봇이 필요해졌고, 우주 로봇의 모습은 섬세하고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인간의 형태를 띠게 됐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3/600/20240317164828_2000273_700_483.jpg)
아지미 팀장은 “아폴로와 같은 로봇은 다양한 곳에 적응할 수 있도록 모듈화를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며 “이것이 나사가 실제로 통찰력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부분이다. 핵심 격차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지상 시스템을 우주 환경에 도입하며 우주 작동을 인증받기 위해 미래에 투자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협력 이유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