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값·유가 뛰며 2월 소비자 물가 3%대로 재상승 [종합]

입력 2024-03-06 09: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과일지수 41% 급등…귤 78.1%↑ㆍ사과 71.0%↑

▲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올해 1월 2%대로 내려갔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지난달엔 3%대로 다시 올라섰다. 과일 등 농산물 가격의 가파른 오름세 속에 국제유가 상승세 등이 겹친 영향이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2020=100)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1% 올랐다.

작년 8∼12월 3%를 웃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1월(2.8%) 2%대로 내려갔지만 한 달 만에 3%대로 올라섰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물가관계장관 회의에서 "2월 소비자물가가 국제유가 상승, 농산물 가격 강세 등으로 3.1% 상승하면서 물가 하향 흐름이 다소 주춤한 모습"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농산물 물가는 20.9% 상승했다. 전체 물가에 대한 기여도는 0.80%포인트(p)다. 농산물 물가가 전체 물가를 0.80%p 끌어 올렸다는 얘기다. 특히 귤의 경우 전년보다 78.1%, 사과는 71.0%나 상승했다.

이에 따라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20.0% 상승했다. 전월 상승 폭(14.4%)보다 크게 확대됐다.

귤 등 신선과실이 41.2% 급등한 영향이다. 지난달 신선과실 물가 상승 폭은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큰 것이다.

최근 상승세에 더해 작황이 좋아 과일값이 낮았던 지난해의 기저효과가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물가 하락 폭도 전월 하락 폭(-5.0%)보다 낮은 -1.5%에 그쳤다. 전월대비로는 2.5% 상승했다. 이에 따라 석유류의 전체 물가 기여도는 1월 -0.21%p에서 2월 -0.06%p로 소폭 줄었다. 상대적으로 물가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 셈이다.

가계의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들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7%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4.5%) 정점을 찍은 뒤 올해 1월(3.4%)까지 상승 폭이 둔화했지만 넉 달 만에 다시 상승 폭이 커졌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년보다 2.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6%로 각각 상승했다. 두 지수 모두 전월 상승 폭과 동일했다.

정부는 최근 중동 지역 불안 및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자발적 감산 연장에 따른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 이상기후 등 물가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올해 상반기 2%대 물가 조기 안착 위해 총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농축수산물 가격안정을 위해 올해 3~4월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600억 원을 투입해 주요 먹거리 체감가격을 40~50% 인하할 방침이다.

아울러 수입과일 3종에 대한 추가관세 인하와 함께 오렌지, 바나나 등 주요 과일을 직수입해 저렴하게 공급한다.

석유류의 경우에는 불법‧편승 인상이 없도록 매주 전국 주유소를 점검하고, 학원비는 지자체별 교습비 조정 기준 위반시 엄정 조치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업계에 국제곡물가격 하락분을 식품 가격에 제대로 반영되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최근 국제곡물가격 하락분이 2022년 고점 대비 절반 가량 하락했음에도 식품가격 하락은 요지부동이라는 게 그 이유다.

최 부총리는 “원료 가격 상승을 이유로 가격을 인상했다면 원료 가격 하락 시에는 제때, 그리고 하락분만큼 제대로 내려야 국민들께서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인 경영활동”이라며 "국민 부담 완화에 업계가 적극적으로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