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들이 사업 다각화를 위해 추진하던 부수 업무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핀테크와 인터넷은행 등 전문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데다, 카드사가 출시한 상품이 기존과 차별점이 없어 시장에서 외면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우리카드는 내달 15일 해외송금 서비스를 종료한다. 2021년 서비스를 출시한 지 약 3년 만이다.
카드사 해외송금 서비스는 2018년 현대카드가 처음으로 선보였다. 같은 해 정부가 은행망을 쓰지 않고도 해외송금이 가능토록 규제를 풀었고 이후 롯데카드, KB국민카드가 참여했다.
당시 카드업계는 해외송금 시장 규모를 약 20조 원으로 내다봤고, 이듬해인 2019년 개정된 외국환 거래법에 따라 연간 5만 달러 이내로 해외송금 업무가 허용되며 서비스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인터넷은행과 시중은행의 참여로 경쟁력을 잃게 됐다. 특히 인터넷은행은 시중은행 대비 저렴한 수수료를 앞세워 해당 시장을 선점했다. 이후 2020년 현대카드가 해외송금 사업에서 철수한 데 이어 지난해 롯데카드, 올해 우리카드까지 해당 서비스에서 발을 빼며 KB국민카드만 유일하게 해외송금을 서비스하는 카드사로 남게 됐다.
개인 신용평가(CB)에 기반한 신사업도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카드사가 보유한 비금융 데이터를 결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으로 꼽혔지만, 수익성은 미미한 상황이다.
기존 시중은행들 역시 개인 신용평가시스템(CSS)을 활용하고 있고, 인터넷은행도 CSS 고도화를 통해 중금리 대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카드사가 단기간 내 유의미한 수익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사업 수익성은 미미한 상황이지만 향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커 지켜보는 단계”라고 밝혔다.
사업 다각화를 위한 규제 완화도 요원한 상태다. 업계는 숙원사업 중 하나인 종합지급결제업(종지업) 도입을 수년째 요구하고 있지만, 여전히 감감무소식이다. 종지업 도입 시 은행에 지급하는 이체수수료를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은행권의 반대에 좌초됐다.
카드업계는 조달비용 상승과 수익성 악화로 인한 건전성 우려에 신사업을 발굴할 여력 없다는 입장이다. 당장 올해 안에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어 업계 고심은 더욱 깊어진 상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려 해도 이미 해당 사업을 선점한 기업이 있어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가맹점 수수료율 조정 등을 통해 본업인 신용판매 수익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