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기업, 수익성·안정성·활동성 등 경영지표 전년보다 개선”

입력 2024-02-2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기부, 2023 여성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수출, 연구개발투자 등 성장지표도 전년 대비 확대
‘일·가정양립’ 부담은 전년보다 체감률 높아져
가장 필요로 하고 효과 있는 정부정책은 ‘자금지원’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2022년 기준 여성기업의 수익성·안정성·활동성 등 경영지표가 전년보다 모두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과 연구개발투자 등 성장지표도 전년보다 확대됐다. 다만 남성기업인 대비 여성기업인이 가장 불리한 분야로 꼽는 ‘일·가정양립’ 부담은 전년보다 체감률이 높아졌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7일 이러한 내용의 ‘2023 여성기업 실태조사 결과(2022년도 기준)’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여성기업의 일반현황 및 재무성과, 교육, 애로사항 등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해 여성기업 지원정책 발굴 및 수립의 참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매년 발표되는 국가승인통계이다. 조사 대상은 매출액 5억 원 이상으로 여성이 대표자인 24만597개 기업이다. 이 중 5000개 기업을 표본으로 조사했다.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1.37%다.

조사 결과 여성기업은 전년보다 수익성(순이익률 4.7→5.1%), 안정성(부채비율 165.1→135.2%), 활동성(자기자본 회전율 2.1→2.2배)은 개선됐으나, 생산성(1인당 평균 매출액 2.32억→2.05억 원)은 감소했다. 여성 중소제조기업은 일반 중소제조기업보다 수익성(여성 4.3%, 일반 4.1%), 안정성(여성 106.6%, 일반 125.2%), 활동성(여성 2.4배, 일반 2.2배)이 높고 생산성은 낮은 수준이다.

여성기업의 매출액 대비 수출액 비중은 2.6%로 전년 대비 0.3%포인트(p) 증가했고 연구개발투자 경험은 4.3%로 1%p 늘었다. 다만 일반 중소제소기업과 비교했을 때, 여성기업은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과 연구개발투자 경험이 절반 전후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여성기업인이 느끼는 강점 1위는 ‘섬세함’으로 나타났고 전년 대비 리더십(7.1%p↑)과 청렴함(9.8%p↑)이라고 답한 비율이 높아졌다. 약점 1위는 ‘도전정신’이고 전년 대비 혁신성(6.1%p↑)과 기획력(9.6%p↑)을 뽑은 비율이 높아졌다.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남성기업인 대비 여성기업인이 가장 불리한 분야는 ‘일·가정 양립 부담’(39.6%)을 뽑았으며, 전년 대비 불리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증가해 불리함에 대한 체감률이 높아졌다. 아울러 남성 위주의 네트워크로 여성의 참여가 제한된다는 여성기업인도 전년대비 증가(16.6→26.6%)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기업이 성장을 위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은 자금지원(40.9%), 인력지원(20.0%), 세제지원(19.4%), 판로지원(12.4%) 순이었다. 효과가 높은 지원은 자금지원(88.9%), 세제지원(80.3%)으로, 재정과 관련이 있는 지원의 체감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공구매를 통해 정부기관 납품 경험이 있는 기업은 전체의 8.8%이며,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비율이 85.9%로 높았다. 경영 활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전년대비 ‘전반적 경기침체로 수요 감소’(54.6%)는 낮아졌으나 ‘인건비·원자재 등 비용증가’(22.5→39.3%), ‘업체 간 경쟁심화’ (20.3→37.7%)는 높아졌다.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