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지는 유럽 정치권...미국은 7080 최고령자 맞대결 양상 [늙어가는 미국]

입력 2024-02-05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대선, 바이든 vs 트럼프 ‘말실수 대결’ 양상
인지 능력 논란 지속
유럽선 40대 지도자 대세
34세 최연소 총리도 등장
미국, 막대한 정치자금 동원력 노인 정치 부추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월 24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전미자동차노동조합(UAW)의 정치집회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AP연합뉴스
유럽 정치권이 젊어지는 것과 대조적으로 미국에서‘고령 정치’가 이어지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세대교체가 진행되는 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지난 30년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태어난 ‘베이미부머’들이 정치를 주도하고 있다.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1946~1964년생으로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보다 더 넓은 범위를 아우른다. 1933년 46세의 나이로 취임한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조지 부시 W 전 대통령,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현 대통령인 조 바이든은 2차 대전이 끝나기 전인 1942년에 태어나 심지어 이들보다 앞선 세대다.

미국은 능력주의로 연공서열과 무관하다고 여겨지지만, 워싱턴 정가에서만큼은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올해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선거인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도 81세 바이든 대통령과 77세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역대 최고령 리턴 매치가 성사될 것이 확실시된다. 의회에서는 공화당 상원 일인자인 미치 매코널 원내대표가 82세로 바이든 대통령보다 나이가 많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월 27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미국)/EPA연합뉴스
고령의 정치인들이 노련함과 연륜을 바탕으로 노익장을 과시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많아진 나이만큼 다수의 말실수와 건강 논란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니기도 한다. 유력 대선 후보인 트럼프 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사이좋게 말실수를 주고받는 모양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대선 경선 라이벌인 니키 헤일리 전 유엔 주재 미국 대사와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을 혼동하는 말실수로 고령 논란에 휩싸였다. 바이든 대통령도 미국 유명 팝가수 테일러 스위프트를 브리트니 스피어스로 혼동하는가 하면, 윤석열 대통령을 ‘미스터 윤’이 아닌 ‘미스터 문’으로 잘못 말해 도마 위에 올랐다.

이 때문에 대선의 쟁점도 두 후보의 정책 공약과 비전, 재임 시절 쌓은 성과 등 보다는 ‘누가 더 온전한 인지능력을 갖고 있는가’로 흐르고 있다. 70·80대 노익장의 대선 맞대결로 젊은층의 선거에 대한 관심이 저조하다는 평가도 있다.

미국의 이러한 상황은 유럽과 대조된다. 유럽에서는 ‘젊은 정치인’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유럽연합(EU) 27개국 지도자의 3분의 1 이상이 40대다. 프랑스에서는 최근 34세의 가브리엘 아탈이 최연소 총리직에 올랐다. 리시 수낵 영국 총리는 43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46세,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47세다. 프랑스 대통령과 총리인 아탈과 마크롱 두 사람의 나이를 합해도 80세로 바이든 대통령의 나이보다 적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으로 범위를 넓혀봐도 이들 국가의 지도자들은 평균 55세로, 1950년대보다 10살가량 젊어졌다.

유독 미국에서 고령의 대통령이나 후보자가 잇따르는 배경에는 미국 고유의 정치와 돈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의원내각제가 많은 다른 선진국과 달리 대통령제를 택하는 미국에서는 개인의 모금 능력이 중요한 데다가, 선거에 들어가는 자금도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개인·기업·단체가 정치자금을 무한정 쏟아부을 수 있는 미국의 독특한 ‘슈퍼팩(특별정치활동위원회)’ 제도는 천문학적인 선거 모금을 가능하도록 했고, 이러한 자금 규모는 후보의 영향력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유력 휴보가 되기 위해서는 오랜 세월에 걸쳐 부와 인맥을 쌓거나 친인척으로부터 물려받는 수밖에 없다. 부시 가문이나 클린턴 가문이 오랜 기간 대통령 후보를 차지해 ‘연고주의’, ‘부유층 지배’라는 비판을 들었지만, ‘장로(長老) 지배’도 같은 뿌리라고 닛케이는 짚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