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아동 230만 명 감소…올해 700만 명대도 붕괴될 듯

입력 2024-01-31 14:19수정 2024-01-31 17: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생아 감소에 0~17세 25% 급감…총인구 중 아동 인구 비율도 4.6%P 축소

최근 10년간 아동(아동복지법상 0~17세) 인구가 230만 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인구 중 아동 인구 비율은 4.6%포인트(P) 축소됐다.

본지가 31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총인구는 5132만5329명으로 10년 전인 2013년(5114만1463명)보다 18만3866명(0.36%) 증가했다. 반면, 아동 인구는 943만1699명에서 707만7206명으로 235만4493명(24.96%) 급감했다.

이는 출생아 감소의 영향이다. 2015년까지 43만 명대를 유지하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16년 40만6243명, 2017년 35만7771명, 2018년 32만6822명, 2019년 30만2676명, 2020년 27만2337명, 2021년 26만562명, 2022년 24만9186명으로 수직 하강 중이다. 지난해엔 11월까지 누적 21만3572명이 태어났다. 출생아 수 계절성을 고려하면, 12월 출생아는 1만6000명 안팎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연간 출생아 수도 23만 명 안팎을 기록하게 된다.

가파른 출생아 감소에 총인구 대비 아동 인구 비율도 2013년 18.4%에서 지난해 13.8%로 4.6%P 축소됐다. 올해엔 아동 인구 700만 명대도 붕괴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동 인구 증감은 지역별 차이가 크다. 17개 시·도 중 아동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세종(257.4%)이 유일하다. 서울(-33.5%), 부산(-27.1%), 대구(-29.9%), 인천(-22.0%), 광주(-30.8), 대전(-33.3%), 울산(-27.7%)과 경기(-17.1%), 강원(-28.5%), 충북(-26.0%), 충남(-20.8%), 전북(-32.8%), 전남(-30.1%), 경북(-28.7%), 경남(-26.9%), 제주(-12.3%) 등 나머지 지역은 모두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그나마 경기의 감소율이 낮은 건 혼인을 계기로 서울에서 유입된 신혼부부가 많아서다.

아동 인구 비중을 지표로 보면 상황이 더 심각해진다. 광주와 대전은 10년 전과 비교해 각각 31.4%에서 13.4%로 6.0%P, 20.2%에서 13.3%로 5.9%P 각각 축소됐다.

출생아 감소에 따른 아동 인구 감소는 일자리 공급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지가 행정안전부와 보건복지부, 통계청, 국세청, 한국교육개발원의 행정통계를 연계해 출생아가 감소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출생아가 연평균 1만 명씩 감소하면 10년간 일자리가 25만 개 이상 사라질 것으로 계산됐다. 시설별로는 어린이집, 교습학원, 유치원 순으로 일자리 충격이 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