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공관위 “소수정당 ‘권역별’ 비례제 타결돼야”

입력 2024-01-29 16: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공천 기준 마련에 국민 직접 참여”
“도덕성 평가 기준 중 1순위는 ‘부패’”

▲임혁백 더불어민주당 공관위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 당원존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는 29일 “소수정당 (배분) 권역별 비례대표제로 국회가 하루 속히 타결하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소수정당 배분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임혁백 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이 제안한 비례제 안으로 3% 이상 득표 소수정당에 비례의석 30%를 분배하자는, 병립형과 연동형 사이의 타협안이다.

박병영 공관위 대변인은 이날 오후 4차 공관위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여야 협상이 가능하고, 지역 균형 안배가 가능한 소수정당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속히 타결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이 4·10총선에 적용될 비례대표제에 대한 의견을 이르면 이번 주 결정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공관위가 21일 회견에 이어 재차 소수정당 배려 ‘병립형’을 강조한 셈이다.

또 공관위는 “공천 후보자 면접을 앞두고 국민이 제안한 기준을 공천 평가에 반영하는 것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공관위는 (국민이 제안한) 공천 기준을 심사와 면접에 반영해 투명한 공천 심사를 하겠다”며 “‘국민 참여 공천’은 명실상부한 민주적 절차와 국민 눈높이에 맞는 기준을 마련해 활용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관위는 22일부터 28일 자정까지 국민참여공천 접수를 받았다. 국민참여공천은 도덕성, 의정 활동 능력 등 평가 항목에서 어떤 사안을 가장 심각하게 보는지 국민에게 직접 묻는 것이 핵심이다. 예를 들어 도덕성을 따지는 10가지 기준이 있다면 국민마다 기준의 우선순위와 비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고, 심사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공관위 소속 김병기 의원은 “(도덕성 항목에선) 부패 문제가 1순위로 꼽혔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접수 내용을 바탕으로 공관위는 31일부터 지역구별 공천 신청자 면접을 실시한다. 박 대변인은 “정당 내 밀실 공천이 아닌 공개적으로 공천 기준을 마련해 정당 민주화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고 자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