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자사고·외고 존치에 “고교서열화 극복 한순간에 물거품”

입력 2024-01-17 15: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초등의대반 등 참혹한 입시경쟁 현실 외면해”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열린 2024년 신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국제고 존치가 확정된 것과 관련해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고교 서열화를 깨고 일반고 전성시대를 열며 공교육 경쟁력을 올리기 위한 교육공동체의 10년의 노력이 한 순간에 물거품이 됐다”며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조 교육감은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조희연의 서울교육 10년은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을 통해 고교체제 서열화 극복에 분투한 시간이었다”며 “그 지난한 노력이 지난 정부의 정책적 결단을 이끌어내며 결실을 맺기 직전이었지만, 윤석열 정부의 후진으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10년 전 일부 존재하던 자립형 사립고를 넘어 자율형 사립고를 대폭 확대했던 이주호 당시 장관이 다시 교육부 장관이 돼 이를 주도하는 것을 보는 심정은 한없이 무겁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전날 자사고·외고 등 존치 관련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의 국무회의 통과에 대한 브리핑에서 “일반고를 더 다양화해 나가는 노력을 경주하면 자사고나 특목고의 수직적 서열화 등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며 “자사고나 특목고를 존치하면서 정부 정책의 초점은 일반고 다양화와 고교학점제의 현장 안착에 둘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조 교육감은 “현재 초등의대반 열풍, N수생 양산을 낳는 우리 사회의 참혹한 입시경쟁 현실을 애써 외면한 무책임한 발언”이라며 “이 어두운 현실을 바꾸기 위해선 서열화된 대학체제와 고교체제를 수평적으로 개혁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 교육감은 “학생의 미래를 위해 수직 서열화된 고교체제를 ‘수평적 다양성’이 꽃피는 고교체제로 전환하려는 목표와 가치를 잊어서도 잃어서도 안된다”며 “충실한 고교학점제 운영과 일반고 지원을 통해 다시 제2의 일반고 전성시대를 열어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