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인구 통계 산출, 89개 인구감소지역으로 확대

입력 2024-01-1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분기별로 공표…지역 맞춤형 사업 발굴 기대

▲인구감소지역 지역 현황. (자료제공=통계청)

통계청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생활인구를 올해 89개 전체 인구감소지역으로 확대해 산출하고 분기별로 공표한다고 17일 밝혔다.

생활인구는 해당 지역의 등록인구(주민+등록외국인)와 체류인구(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체류)를 합친 인구를 말한다. 현재 인구감소지역은 부산 동구ㆍ서구ㆍ영도구, 인천 강화군ㆍ옹진군, 경기 가평군ㆍ연천군 등 89개 시군구다.

그동안 산출된 생활인구 관련 통계에는 주민등록자료(행정안전부), 등록외국인자료(법무부), 모바일 이동정보(통신 3사) 등 민・관 데이터를 가명결합한 자료가 활용됐다. 올해부터는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통계 산출을 위해 신용카드 사용 정보가 추가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 규모 등 기본적 통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점의 체류 특성 및 소비 특성이 입체적으로 분석되고 통계화돼 증거 기반의 민생정책 수립이 수월해질 전망이다.

가령 통계청은 인구감소지역을 관광・통근 등의 유형으로 상세하게 나누고, 이들 유형 간의 체류특성 및 소비특성을 비교 분석할 예정이다.

각 지자체는 이들 통계를 통해 해당 지역의 실질적인 강・약점 파악하고 지역 맞춤형 관광상품을 개발하는 등 인구감소 대응전략을 짜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정부 또한 이러한 입체적 정보를 활용해 재정・행정 지원 등 국가 지원의 기준을 수립하거나 각종 지방소멸 대응 시책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지역 활성화 정책 지원을 위해 생활인구 관련 통계를 생산하는 데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