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中企 화학 안전 인력난 해소' 등 우수 환경규제혁신 사례 선정

입력 2023-12-2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3년 하반기 규제혁신 대표 사례 카드뉴스 (사진제공=환경부)

정부가 중소기업의 화학 인력 채용 어려움을 해소한 것 등 우수 환경규제혁신 사례를 선정·공개했다.

환경부는 올해 하반기에 중점적으로 추진한 환경규제혁신 개선 사례 중 '중소기업 화학 안전관리 전문가 인력난 해소' 등 우수사례 5건을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환경부는 국민 생활과 기업 활동에 밀접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낡은 환경규제를 개선 중으로 이 중 현장에서 체감 효과가 큰 과제를 규제혁신 우수사례로 선정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우수사례 5건은 올해 하반기에 추진한 규제혁신 대표 사례 12건 중에서 국민 1000여 명과 환경부 직원의 투표를 거쳐 선정됐다.

최우수 사례로 선정된 ‘중소기업 화학 안전관리 전문가 인력난 해소’는 영세 중소기업 입장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기술 인력 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규정을 개정한 것이다.

환경부는 영세사업장에 적용 중인 완화된 기술 인력 자격 기준의 유효기간을 2028년까지 5년 연장하고 유해화학물질 관리자 인정 자격 12종을 추가해 화학 안전 전문가 채용의 어려움을 해소했다.

첫 번째 우수사례로 선정된 ‘통합 허가사업장 방류수 기준 설정 방법 개선’은 개별법에 따라 허가를 받아 운영 중인 사업장이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질오염물질 한계 배출기준을 적용받게 되는 경우 배출기준이 대폭 강화돼 기준 준수 부담이 컸으나, 기존 배출기준의 70%로 한계 배출기준을 설정하도록 규정이 합리적으로 개선됐다.

두 번째 우수사례인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는 전기차 폐배터리를 폐기물처리업 허가가 없이도 취급할 수 있는 순환자원으로 지정하고, 폐기물 보관 용량을 30일분에서 180일분으로 확대하면서 폐배터리 순환이용을 활성화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장려 사례로 선정된 ‘폐차 환경개선부담금 납부 불편 해소’는 폐차 후 약 3~6개월 후 부과하던 환경개선부담금을 폐차 즉시 부과해 납부 편의를 개선했다. 같은 장려 사례인 ‘불합리한 폐수배출시설 설치 의무 개선’은 폐기물처리업 정수시설에서 배출되는 저농도 폐수를 기존 폐수처리시설로 처리하는 경우 별도의 폐수처리시설 추가 설치 의무를 제외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규제혁신 우수사례가 국민과 기업 현장에서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환경부 홈페이지(me.go.kr)에 게재하고 앞으로도 불합리한 규제개선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