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주요 기반시설 ‘EMP 방호 대책’ 수립…“신종 재난 대비 나서”

입력 2023-12-25 11: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EMP 방호 가이드라인 제작
“EMP 대응 고도화할 것”

▲서울시가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EMP 방호 대책’ 수립한다. (자료제공=서울시)

최근 북한의 핵 위협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도심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EMP(고출력 전자기파)’ 방호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EMP는 인공적으로 발생시키는 강력한 파장이 펄스 형태로 방출되는 전자기파로 수백~수천km 내 전기를 사용하는 의료기기, 통신수단, 교통수단, 공장설비 등의 내부 회로를 순간 또는 영구적으로 손상시켜 오작동 등의 피해를 유발한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해 10월 카카오 플랫폼 서비스의 장시간 중단 사태에서 재난・비상 대책 방안 중 EMP 공격에 대한 방호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시 차원에서도 ‘북 EMP 위협과 서울 도시기능 유지방안 안보 포럼’을 진행하기도 챘다.

시가 올해 3월부터 주요 기반시설 36개소 중 13개 시설을 직접 방문해 시설별 EMP 취약점 분석평가를 진행한 결과, 선별된 13개 시설 모두 핵/비핵 EMP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는 전기, 통신, 수도, 교통 등 시민들에게 필수적인 기반시설을 항상 유지하고 비상시 신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현실적이고 내실 있는 단계적인 대응 로드맵을 수립했다.

우선 비핵 EMP 공격에 대한 방호대책은 사전 예방 활동과 복원력을 중심으로 한 △관리적 △물리적 △기술적 방안을 마련해 추진한다.

일례로 관리적 방안은 EMP 관련 정책수립, 경각심 환기, 방호 및 대응 교육 등으로 시는 우선 ‘주요기반시설 대상 유형별 EMP 대응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비핵 EMP에 비해 피해 범위도 넓고 영향력이 큰 핵 EMP의 경우, 시뿐 아니라 민・관 공동으로 방호대책이 적용될 수 있도록 협력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북핵 위협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근접한 위험은 EMP 공격을 통해 서울 수도권의 통신, 전력, 이동 등 도시기반을 일시에 마비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우리는 항시 경계해야 한다”며 “이번 비핵화 EMP 대비체계를 점차 핵 EMP 대응으로 고도화하면서 시민들이 입을 수 있는 피해에 적극 대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