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방 혁신도시 ‘스타트업 ㆍ청년’ 중심 도시 만든다…2027년까지 3조2217억 투자

입력 2023-12-18 13:30수정 2023-12-18 13: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교통부가 지방 혁신도시 발전을 위해 스타트업과 청년 지원에 3조2217억 원을 2027년까지 투자한다.

국토교통부는 18일 열린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에서 제2차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2023∼2027년)이 의결됐다고 밝혔다.이번 제2차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안은 제1차 계획(2018~2022)의 성과평가 및 시사점을 토대로 비수도권 청년세대 유출, 지역 유망기업 유치난 심화 등 인구․기업 여건 변화에 걸맞게 혁신도시가 고도화될 수 있도록 발전 전략을 담았다.

국토부에서는 10개 혁신도시에서 자체 수립․제출한 발전계획을 토대로 부문별 추진 전략 및 사업을 담은 종합발전계획을 마련하였다.

먼저, 특화산업 육성을 위해 범부처 지원사업 연계를 강화하고, 특화기술 실증, 신제품 개발, 해외진출 등 기업지원을 확대한다. 또 스타트업 등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창업공간 등을 지원하고, 공공기관 연계 창업 등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대학․공공기관․지자체 간 연계를 강화해 전문학과 운영 등 맞춤형 인재양성을 지원하고, 이전공공기관 채용박람회, 지역인재 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위해 지역인재 유출방지 및 이전기관 역할을 확대한다.

아울러 청년세대의 수요 맞춤형 정주기반 조성을 위해 복합문화예술공간 조성 등 문화․여가시설과 공연과 문화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돌봄 시간 및 소아 야간․휴일 진료 확대 등 혁신도시 보육환경을 개선해 나간다. 모빌리티 서비스와 지능형 교통체계를 구축하는 등 혁신도시의 스마트 서비스를 확대한다.

이 밖에 상생발전 커뮤니티 공간 조성 등 혁신도시와 주변 지역과의 연계․교류를 위한 문화공유시설을 확충하고, 혁신도시와 주변 지역간 접근성을 강화한다.

이번 계획 사업비는 3조2217억 원으로 국비 1조5209억 원(47%), 지방비 1조3475억 원(42%), 민자 등 3537억 원(11%)이 투입된다. 혁신도시 생산 유발효과는 약 6조73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약 2조6864억 원이 증가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