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노인 맞춤형 돌봄서비스 지원 확대

입력 2023-12-18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취약노인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
인천광역시는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대응하고 혼자 힘으로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취약노인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위해 맞춤형 돌봄서비스 제공을 확대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올해보다 400명 확대된 1만5574명의 저소득 취약 노인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을 담당하는 전담사회복지사와 생활지원사 인력도 93명 확대된 1099명을 투입해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이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2024년에는 신체활동 제한으로 중점돌봄이 필요한 대상자의 서비스 제공시간을 기존 월 16시간 이상에서 월 20시간 이상으로 확대해 거동이 불편한 노인에게 꼭 필요한 가사·이동지원 등 돌봄서비스 제공을 강화한다.

노인 맞춤돌봄서비스는 돌봄이 필요한 취약 노인을 대상으로 안전지원(방문, 전화, 말벗), 사회참여(사회관계 향상 프로그램, 평생교육), 생활교육(신체 및 정신건강 분야 생활교육), 일상생활 지원(이동활동 지원, 가사지원), 연계서비스(생활, 주거, 건강 등 연계) 등 개인별 욕구중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돌봄서비스다.

무릎 통증이 심해지면서 경로당에 나가는 것이 버거워지고, 고독사에 대한 불안감이 생긴 노인에게는 주기적인 안부확인(방문 주 1회, 전화 주 3회), 복지정보 제공(독감 예방접종 등), 외출동행(병원 동행), 가사지원(식사·청소관리), 연계서비스(후원물품 연계) 등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사회적 고립과 우울 위험이 큰 노인을 발굴, 개인별 상담과 맞춤형 정서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 단절된 사회적 관계를 회복하고 노인 고독사 및 자살 예방을 돕는다.

특히 인천시는 서비스 대상자 중 안전확인이 필요한 독거노인에게 동작감지 등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부착된 안심폰을 제공해 돌봄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지원 중으로 사람 중심 돌봄관리와 정보통신기술(ICT)이 결합한 돌봄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김지영 인천시 여성가족국장은 “외로운 어르신들에게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가 든든한 친구가 되길 바라며,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이 적시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주민들의 관심과 홍보를 부탁드린다”라면서 “홀로 사는 어르신들의 고독감을 경감시키고 복지 사각지대 없는 인천을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