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경제 수준·아이폰 공장 있는 지역 포함
세계 최대 시장서 애플 입지 흔들
삼성전자 점유율 1% 불과…영향 적을 전망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의 최소 8개 성에 있는 정부 부처와 국영기업은 최근 1~2개월 동안 직원들에게 업무용 스마트폰을 자국 브랜드로 써야 한다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산 스마트폰 중 현재 중국에서 점유율이 의미 있게 높은 브랜드는 애플의 아이폰밖에 없는 상황이라 사실상 애플을 겨냥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금지령이 내린 지역에는 비교적 경제적 수준이 높은 저장성과 광둥성, 장쑤성, 안후이성을 비롯해 세계 최대 아이폰 공장이 있는 산시성 북부와 산둥성, 랴오닝성, 허베이성 중부가 포함됐다.
앞서 9월 중국은 베이징과 톈진에서 공직자에게 해외 브랜드 휴대전화를 업무용으로 사용하지 말라는 일명 ‘아이폰 금지령’을 내렸다. 중국 외교부는 당시 “외국 브랜드의 휴대전화 구매를 금지하는 법과 규정을 발표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암묵적으로 금지 조처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이러한 노력은 토종기업 화웨이테크놀로지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상황에서 미국 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애플은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중국 매출은 애플 전체의 약 5분의 1을 차지했다. 또 현재 애플은 대부분의 기기를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 아이폰 판매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기관 GfK에 따르면 9월 중국에서 아이폰15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다. 블룸버그는 “화웨이가 8월 최신 프리미엄 스마트폰 ‘메이트60’을 출시한 영향으로 보인다”며 “중국 공무원이 8000만 명에 달하고 국영 기업이 수백만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애플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삼성전자는 중국 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1%에 불과해 중국 정부의 조처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