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1인 청년가구 반지하ㆍ지하ㆍ옥상 거주 비율 높아
미혼 청년 10명 중 6명은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이 가장 원하는 주거정책은 주택구입자금 대출 등 금전적인 지원으로 조사됐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은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청년가구가 5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청년독거가구(25.4%), 청년부부가구(8.1%), 청년과 자녀가구(6.8%) 순이었다.
청년가구 중 수도권의 부모동거가구(미혼) 비율이 32.8%로 가장 높았다.
주택유형을 보면 청년독거가구는 연립다세대가 40~50% 정도로 높았고, 수도권 거주 청년독거가구의 경우 오피스텔 거주 비율이 32.4%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지하.지하.옥상의 거주 비율은 수도권 거주 청년독거가구가 3.24%로 가장 높았다. 광역시와 광역도 청년독거가구의 경우 각각 0.09%, 0.88% 정도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부부가구와 부모동거가구도 반지하.지하.옥상의 거주 비율이 1% 이상이었다.
청년독거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으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독거가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청년 10명 중 8명(80%)은 가장 필요한 주거정책으로 전세자금과 주택구입자금 대출, 주거비 지원 등 금전적인 지원을 꼽았다.
청년부부 및 청년‧자녀 가구의 50% 이상은 주택구입자금 대출 지원을 원했고, 독거 및 부모동거 청년은 주거비 지원과 공공임대 입주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의 경우 청년독거가구와 부모동거가구(미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수도권 거주 청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