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의료원, AI ‘경험적 항생제’ 내성 예측 모형 개발

입력 2023-12-13 10: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급종합병원 275만명 공통데이터모델 활용

(사진제공=아주대의료원)

감염질환에서 의료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항생제 내성 예측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아주대의료원은 박래웅 의료정보학교실 교수팀이 상급종합병원 275만 명의 공통데이터모델(CDM)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AI 기반의 ‘경험적 항생제’ 내성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고 13일 밝혔다.

중증 감염병 환자가 입원하면 정확한 항생제 처방을 위해 처방 전 항생제 내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처방을 미룰 수 없는 경우 일단 경험적으로 가장 적합한 처방, 즉 경험적 항생제를 시행한다.

예측 모형은 입원 환자 중 병원성 요로감염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기저 특성(인구학적 특성·진단 기록·약물 처방력·검사 및 처치력 등) △타 기관 전원 기록 △항생제 감수성 경향 등의 정보를 활용했다.

연구팀은 8가지 항생제 감수성 패널 결과를 예측했으며, 기존의 다른 선행연구보다 우수한 결과를 확인했다.

박래웅 교수는 “감염 질환의 특성에 맞는 주요 대규모 의료 데이터를 확보해 실제로 활용 가능한 임상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모형을 개발했다”며 “향후 진료 현장에서 개인별 맞춤형 경험적 항생제 선택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감염병 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11월 국제항균제학회지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